주 아이디얼 정역
대수 구조 |
---|
가환대수학에서 주 아이디얼 정역(主ideal整域, 영어: principal ideal domain, 약자 PID)은 모든 아이디얼이 하나의 원소로 생성되는 정역이다.
정의
[편집]주 아이디얼 환
[편집]주 오른쪽 아이디얼 환(영어: principal right ideal ring)은 모든 오른쪽 아이디얼이 주 오른쪽 아이디얼(즉, 에 대하여 의 꼴)인 환이다. 주 왼쪽 아이디얼 환(영어: principal left ideal ring)은 모든 왼쪽 아이디얼이 주 왼쪽 아이디얼(즉, 에 대하여 의 꼴)인 환이다. 가환환의 경우 이 두 개념이 일치하며, 주 아이디얼 가환환(영어: principal ideal commutative ring)이라고 한다.
주 아이디얼 정역
[편집]정역 에 대하여 다음 조건들을 정의하자.
정역 에 대하여 다음 조건들이 서로 동치이며, 이를 만족시키는 정역을 주 아이디얼 정역이라고 한다.
- 주 아이디얼 환이다.
- 모든 소 아이디얼이 주 아이디얼이다.
- (N) + 모든 극대 아이디얼이 주 아이디얼이다.[1]:486, Theorem 12.3
- (UFD) + (D)[2]:56, Exercise §2.10
- (UFD) + (B)
- (UFD) + 크룰 차원이 1 이하이다.[3]:311, Exercise 5.17
- (UFD) + 모든 아이디얼이 평탄 가군이다.[2]:164, Exercise §4.51
- (UFD) + 모든 꼬임 없는 가군(영어: torsion-free module)은 평탄 가군이다.[2]:164, Exercise §4.51
- (B) + (N)
- (B) + 주 아이디얼들의 부분 순서 집합은 오름 사슬 조건을 만족시킨다.
- 적어도 하나 이상의 데데킨트-하세 노름을 갖는다.
- (D) + 피카르 군이 자명군이다.[2]:56, Exercise §2.10
- 모든 아이디얼이 자유 가군이다.[4]:273
- 자유 가군의 부분 가군은 자유 가군이다.[3]:639, Theorem 8.9(i)
가환환 위의 데데킨트-하세 노름(영어: Dedekind–Hasse norm) 은 다음 조건을 만족시키는 함수이다.
- 임의의 에 대하여, 이거나 아니면 인 가 존재한다. (여기서 는 와 로 생성되는 아이디얼이다.)
성질
[편집]다음과 같은 포함 관계가 성립한다.
- 가환환 ⊋ 정역 ⊋ 정수적으로 닫힌 정역 ⊋ 크룰 정역 ⊋ 유일 인수 분해 정역 ∪ 데데킨트 정역 ⊋ 유일 인수 분해 정역 ∩ 데데킨트 정역 = 주 아이디얼 정역 ⊋ 유클리드 정역 ⊋ 체
주 아이디얼 정역의 임의의 두 원소 에 대해, 이 둘로 생성되는 아이디얼 의 생성원은 a와 b의 최대공약수가 된다.
모든 주 아이디얼 정역은 뇌터 환이며, 정수적으로 닫힌 정역이다.
모든 환에서 임의의 극대 아이디얼은 소 아이디얼인데, 주 아이디얼 정역에서는 그 역이 '거의' 성립한다. 즉, 모든 0이 아닌 소 아이디얼은 극대 아이디얼이다. 기하학적으로, 이는 크룰 차원이 1이하라는 것을 뜻한다. 보다 일반적으로, 이 조건은 데데킨트 정역에서도 성립한다.
주 아이디얼 정역 위의 가군
[편집]주 아이디얼 정역 위의 유한 생성 가군은 항상 극소 생성 집합을 갖는다. 이는 체 상의 유한 차원 벡터 공간이 기저를 갖는다는 사실의 일반화이다.
주 아이디얼 정역 위의 임의의 유한 생성 가군 은 다음과 같이 나타낼 수 있다.
여기서 는 의 으뜸 아이디얼이다. 이를 의 으뜸 분해(영어: primary decomposition)라고 하며, 유일하다.
주 아이디얼 정역 위의 임의의 유한 생성 가군 은 다음과 같이 나타낼 수 있다.
여기서 는 의 아이디얼들이며, 유일하다. 이를 의 불변 인자 분해(영어: invariant factor decomposition)라고 한다.
분류
[편집]자리스키-사뮈엘 정리(영어: Zariski–Samuel theorem)에 따르면, 모든 주 아이디얼 가환환 는 다음과 같은 꼴의 유한 직접곱으로 나타낼 수 있다.[5]:245, Theorem 33
여기서
헝거퍼드 정리(영어: Hungerford theorem)에 따르면, 모든 아르틴 국소 주 아이디얼 가환환 는 이산 값매김환의 몫환이다.[6]
예
[편집]- 임의의 체는 주 아이디얼 정역이다.
- 정수환 는 주 아이디얼 정역이다.
- 가우스 정수환 와 아이젠슈타인 정수환 는 주 아이디얼 정역이다.
- 가 체일 때, 위의 일변수 다항식환 는 주 아이디얼 정역이다.
반례
[편집]정수 계수 다항식환 는 주 아이디얼 정역이 아니다. 아이디얼 가 주 아이디얼이 아니기 때문이다. 체 에 대하여, 는 주 아이디얼 정역이 아니다. 아이디얼 가 주 아이디얼이 아니기 때문이다.
는 주 아이디얼 정역이지만 유클리드 정역이 아니다.[7]
가 임의의 체일 때, 다항식환 는 유일 인수 분해 정역이지만 주 아이디얼 정역이 아니다. 예를 들어, 는 주 아이디얼이 아니다.
주 오른쪽 아이디얼 영역이 아닌 주 왼쪽 아이디얼 영역
[편집]나눗셈환 위의 가 자기 준동형이지만 자기 동형이 아니라고 하자. 그렇다면 힐베르트 뒤틀린 다항식환(영어: Hilbert’s twisted polynomial ring)[8]:9, Example 1.7
는 다음 성질들을 만족시킨다.[8]:21, Example 1.25
따라서, 영역의 경우에도 주 왼쪽/오른쪽 아이디얼 환 조건이 서로 다르다.
역사
[편집]1949년에 토머스 모츠킨(영어: Thomas Motzkin)이 유클리드 정역이 아닌 주 아이디얼 정역의 예를 최초로 제시하였다.[9]
자리스키-사뮈엘 정리는 1958년에 오스카 자리스키와 피에르 사뮈엘(프랑스어: Pierre Samuel)이 증명하였다.[5]:245, Theorem 33
헝거퍼드 정리는 1968년에 토머스 윌리엄 헝거퍼드(영어: Thomas William Hungerford)가 증명하였다.[6]
같이 보기
[편집]각주
[편집]- ↑ Kaplansky, Irving (1949년 7월). “Elementary divisors and modules”. 《Transactions of the American Mathematical Society》 (영어) 66: 464-491. doi:10.1090/S0002-9947-1949-0031470-3. ISSN 0002-9947.
- ↑ 가 나 다 라 Lam, Tsit-Yuen (1999). 《Lectures on modules and rings》. Graduate Texts in Mathematics (영어) 189. Springer. doi:10.1007/978-1-4612-0525-8. ISBN 978-0-387-98428-5. MR 1653294.
- ↑ 가 나 Rotman, Joseph J. (2011). 《Advanced modern algebra》. Graduate Studies in Mathematics (영어) 114 2판. American Mathematical Society. ISBN 978-082184741-1.
- ↑ Cohn, P. M. (1971). 〈Free ideal rings and free products of rings〉. 《Actes du Congrès International des Mathematiciens 1970. Tome 1》 (PDF) (영어). Gauthier-Villars. 273–278쪽. 2013년 12월 24일에 원본 문서 (PDF)에서 보존된 문서. 2016년 4월 26일에 확인함.
- ↑ 가 나 Zariski, Oscar; Samuel, Pierre (1958). 《Commutative algebra. Volume I》. University Series in Higher Mathematics (영어) 28 1판. David Van Nostrand Company. Zbl 0081.26501.
- ↑ 가 나 Hungerford, Thomas William (1968). “On the structure of principal ideal rings”. 《Pacific Journal of Mathematics》 (영어) 25: 543–547. ISSN 0030-8730. MR 0227159. Zbl 0157.08503.
- ↑ Wilson, Jack C. (1973년 1월). “A principal ring that is not a Euclidean ring”. 《Mathematics Magazine》 (영어) 46: 34-38. doi:10.2307/2688577. ISSN 0025-570X. JSTOR 2688577.
- ↑ 가 나 Lam, Tsit-Yuen (2001). 《A first course in noncommutative rings》. Graduate Texts in Mathematics (영어) 131 2판. Springer. doi:10.1007/978-1-4419-8616-0. ISBN 978-0-387-95183-6. ISSN 0072-5285.
- ↑ Motzkin, Thomas (1949). “The Euclidean algorithm”. 《Bulletin of the American Mathematical Society》 (영어) 55: 1142–1146. doi:10.1090/S0002-9904-1949-09344-8. ISSN 0273-0979. MR 0032592. Zbl 0035.30302.
외부 링크
[편집]- “Principal ideal ring”. 《Encyclopedia of Mathematics》 (영어). Springer-Verlag. 2001. ISBN 978-1-55608-010-4.
- Weisstein, Eric Wolfgang. “Principal ideal domain”. 《Wolfram MathWorld》 (영어). Wolfram Research.
- Weisstein, Eric Wolfgang. “Principal ring”. 《Wolfram MathWorld》 (영어). Wolfram Research.
- “Principal ideal ring”. 《nLab》 (영어).
- “Principal ideal domain”. 《Commalg》 (영어).
- “Principal ideal ring”. 《Commalg》 (영어).
- “Definition: principal ideal domain”. 《ProofWiki》 (영어).
- “An integral domain whose every prime ideal is principal is a principal ideal domain”. 《Project Crazy Project》 (영어). 2010년 11월 3일.
- “Exhibit a ring which is a union of PIDs but is not itself a PID”. 《Project Crazy Project》 (영어). 2010년 12월 16일.
- “PIDs are precisely those UFDs which are also Bezout domains”. 《Project Crazy Project》 (영어). 2010년 11월 16일.
- “Rings of fractions over a PID are PIDs”. 《Project Crazy Project》 (영어). 2010년 11월 5일.
- “Every quotient of a PID by a prime ideal is again a PID”. 《Project Crazy Project》 (영어). 2010년 10월 31일.
- “Integral domains satisfying Bezout’s identity and having divisibility-minimal elements are PIDs”. 《Project Crazy Project》 (영어). 2010년 11월 1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