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맥관
정맥관 | |
---|---|
정보 | |
기원 | 배꼽정맥 |
도착 구조 | 아래대정맥 |
동맥 | 동맥관 |
식별자 | |
라틴어 | ductus venosus |
태아에서 정맥관(靜脈管, ductus venosus)은 배꼽정맥의 일부 혈액을 직접 아래대정맥으로 연결하는 우회로이다.[1] 따라서 산소가 풍부한 혈액이 태반으로부터 나와 간을 우회하여 흐르게 된다. 동물 실험에서 배꼽정맥 혈액 중 50%가 간을 우회하는 것과 비교했을 때, 생리적인 조건의 사람 태아에서 간을 우회하는 혈액의 비율은 그보다는 상당히 적어 발생 20주에서는 30%, 32주에는 18%로 감소한다. 이는 이전에 알려진 것보다 태아의 간이 빠르게 발달한다는 것을 시사한다.[2] 다른 태아에서의 우회로인 타원구멍이나 동맥관과 함께, 정맥관은 산소가 풍부한 혈액이 태아의 뇌로 우선 흘러갈 수 있게 하는 데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태아 순환의 일부이다. 율리우스 카이사르 아란치의 이름에서 따와 아란티우스관(Arantius' duct)이라고도 한다.[3]
구조
[편집]태아에서 배꼽정맥의 혈액은 배꼽정맥에서 왼쪽 간문맥을 거쳐 정맥관을 지난 뒤 아래대정맥으로 들어가 결국 우심방에 이른다. 이러한 해부학적 경로는 신생아에서 정맥의 카테터 삽입이 잘 되었는지 평가하는 데에 중요하다. 왜냐하면 카테터가 정맥관에서 잘못 들어가면 왼쪽이나 오른쪽 간문맥을 거쳐 간에 잘못 삽입될 수 있기 때문이다. 이런 잘못된 카테터 삽입으로 인해 합병증으로 간에 혈종이나 농양이 생길 수 있다.
출생 이후 폐쇄
[편집]정맥관은 출생 직후에는 열려 있기 때문에 배꼽정맥을 통해 카테터를 삽입할 수 있다. 이후 정상적으로 태어난 아기의 경우 출생 1주가 되었을 때 자연적으로 정맥관이 폐쇄된다. 그러나 미숙아의 경우 정맥관이 폐쇄되는 데에 훨씬 긴 시간이 걸린다. 기능적인 폐쇄는 출생 이후 몇 분 만에 이루어지고, 구조적인 폐쇄의 경우 정상적으로 태어난 아기에서 3 ~ 7일이 걸린다. 폐쇄된 정맥관은 정맥관인대로 남게 된다.
정맥관이 출생 이후에 닫히는 데에 실패한다면 열린 채로 남게 되어 정맥관 개존증(patent ductus venosus)이 생기게 된다. 정맥관 개존증으로 인해 간내(intrahepatic) 간문맥전신단락증(PSS)이 발생한다.[4] 아이리시 울프하운드와 같은 일부 개 품종에서는 정맥관 개존증이 유전병으로 나타난다. 미숙아에서는 정맥관이 늦게 닫히는데, 동맥관의 폐쇄나 신생아의 다른 질환과 중대한 관련이 있지는 않다.[5] 혈관을 이완시키는 프로스타글란딘이 증가하여 혈관 폐쇄가 늦어지는 것으로 여겨진다.[5]
각주
[편집]- ↑ Kiserud, T.; Rasmussen, S.; Skulstad, S. (2000). “Blood flow and the degree of shunting through the ductus venosus in the human fetus”. 《American Journal of Obstetrics and Gynecology》 182 (1 Pt 1): 147–153. doi:10.1016/S0002-9378(00)70504-7. PMID 10649170.
- ↑ Kiserud, T (2000). “Fetal venous circulation -- an update on hemodynamics”. 《J Perinat Med》 28 (2): 90–6. doi:10.1515/JPM.2000.011. PMID 10875092. S2CID 11799576.
- ↑ “Whonamedit - dictionary of medical eponyms”. 《www.whonamedit.com》.
- ↑ Online Mendelian Inheritance in Man, 《Patent ductus venosus; PDV》.
- ↑ 가 나 Fugelseth D, Lindemann R, Liestøl K, Kiserud T, Langslet A (December 1998). “Postnatal closure of ductus venosus in preterm infants ≤32 weeks. An ultrasonographic study”. 《Early Hum. Dev.》 53 (2): 163–9. doi:10.1016/s0378-3782(98)00051-6. PMID 101957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