근섬유아세포
근섬유아세포 | |
---|---|
정보 | |
식별자 | |
라틴어 | myofibroblastus |
MeSH | D058628 |
TH | H2.00.03.0.01013 |
근섬유아세포(筋纖維芽細胞, 영어: myofibroblast)는 섬유아세포와 평활근 세포 사이의 상태에 있는 것으로 처음 기술된 세포 표현형이다.
구조
[편집]근섬유아세포는 세포질 스트레스 섬유 내에서 α-평활근 액틴의 발현으로 식별할 수 있는 수축성을 가진 방추형 세포이다.[1]
위장관 및 비뇨생식기에서 근섬유아세포는 점막 표면의 상피하에서 발견된다. 여기에서 선와와 융모의 모양을 조절하는 역할을 할 뿐만 아니라 장샘에서 줄기 틈새 세포와 비정형 항원 제시 세포의 일부로도 작용한다. 이들은 대부분의 장소에서 지지 기능과 측분비 기능을 모두 가지고 있다.
위치
[편집]근섬유아세포는 피부 상처 치유 동안 육아 조직에서 처음으로 확인되었다.[2] 일반적으로 이러한 세포는 육아 조직, 흉터 조직(섬유증) 및 종양의 기질에서 발견된다. 또한 위장관을 따라 늘어서 있으며, 여기에서 소와와 융모의 모양을 조절한다.
마커
[편집]근섬유아세포는 일반적으로 일반적인 중간엽 마커인 중간 필라멘트 비멘틴, α-평활근 액틴, 세포 골격 액틴 스캐폴드 단백질인 팔라딘에 대해 염색한다. 이들은 일부 조직에서 중간 필라멘트 유형 데스민과 같은 다른 평활근 마커에 대해 양성이지만 다른 조직에서는 데스민에 대해 음성일 수 있다. 메타빈쿨린, 스무델린과 같은 수축성 평활근에서만 양성인 소수를 제외하고 거의 모든 평활근 마커에 대해 유사한 이질적 양성이 존재할 수 있다.
근섬유아세포는 섬유아세포로부터 분화되는 동안 및 후에 피브로넥틴, 콜라겐 및 히알루론산의 발현을 상향 조절한다. 이들 중 피브로넥틴의 EDA 이소형 및 콜라겐 유형 I은 전섬유화 세포 외 기질의 근섬유아세포 의존적 합성의 전형적인 마커이다.
일부 근섬유아세포도 GFAP에 양성일 수 있다.
발달
[편집]근섬유아세포 발달에는 여러 가지 가능한 방법이 있다.
- 섬유아세포의 부분 골격근 분화
- 성상 세포의 활성화
- 평활근 세포의 수축성 표현형 상실 (또는 합성 표현형 획득)
- 기질 조직에 상주하는 전구 세포의 직접적인 근섬유아세포 분화
- 위와 같이 직접 분화하거나 중간체로서 다른 세포 유형을 통해 간접적으로 분화할 수 있는 순환하는 중간엽 전구체의 귀환 및 모집
- 상피 세포의 상피 중간엽 분화 (EMT)
가장 많이 연구된 근섬유아세포 형성 경로는 섬유아세포로부터의 TGF-β1 의존적 분화이다. TGF-β 수용체 1 및 TGF-β 수용체 2의 활성화는 표준 SMAD2/SMAD3 경로의 유도를 유도한다.[3] 비정규 EGFR 경로의 공동 활성화와 함께 이러한 이벤트는 ACTA2 유전자의 상향 조절 및 후속 α-평활근 액틴 단백질 생산으로 이어진다. 히알루론산 및 EGFR의 CD44 공동 수용체 활성화를 포함하여 근섬유아세포 분화 경로의 여러 조절자가 설명되었다.[4]
기능
[편집]간, 폐, 신장과 같은 많은 기관에서 주로 섬유증에 관여한다. 상처 조직에서 이들은 세포 외 콜라겐 섬유 침착에 의한 상처 강화 및 세포내 수축에 의한 상처 수축 및 콜라겐 번들에 대한 인테그린이 매개된 당김에 의한 콜라겐 섬유의 수반되는 정렬에 연루된다.
근섬유아세포는 심장 박동을 제어하는 전기 신호의 전파를 방해할 수 있으며[5][6], 심장마비를 겪은 환자와 태아 모두에서 부정맥을 유발할 수 있다. 우르소데옥시콜산은 이 상태에 대한 유망한 약물이다.[7]
상처 치유
[편집]근섬유아세포는 α-평활근 액틴이라는 액틴이 풍부한 평활근 유형 액틴-미오신 복합체를 사용하여 수축할 수 있다. 이 세포는 상처 가장자리를 수축시켜 상처 회복을 가속화할 수 있다.
상처 치유에 대한 초기 연구에서는 아드레날린이나 안지오텐신과 같은 평활근 수축을 유발하는 물질에 노출되었을 때 상처에서 채취한 육아조직이 시험관 내 실험에서 평활근과 유사한 방식으로 수축할 수 있음을 보여주었다.
최근에는 섬유아세포가 광생물학적 조절을 통해 근섬유아세포로 변형될 수 있음이 밝혀졌다.
치유가 완료된 후 이 세포는 세포자살을 통해 손실되며 여러 섬유성 질환 (간경변, 신장 섬유증, 복막후 섬유증)에서 이 메커니즘이 작동하지 않아 근섬유아세포가 지속되고 결과적으로 확장이 일어나는 것으로 제안되었다.
같이 보기
[편집]각주
[편집]- ↑ Tai, Yifan; Woods, Emma L.; Dally, Jordanna; Kong, Deling; Steadman, Robert; Moseley, Ryan; Midgley, Adam C. (August 2021). “Myofibroblasts: Function, Formation, and Scope of Molecular Therapies for Skin Fibrosis”. 《Biomolecules》 (영어) 11 (8): 1095. doi:10.3390/biom11081095. PMC 8391320. PMID 34439762.
- ↑ Majno, G.; Gabbiani, G.; Hirschel, B. J.; Ryan, G. B.; Statkov, P. R. (1971년 8월 6일). “Contraction of Granulation Tissue in vitro: Similarity to Smooth”. 《Science》 (영어) 173 (3996): 548–Muscle550. Bibcode:1971Sci...173..548M. doi:10.1126/science.173.3996.548. ISSN 0036-8075. PMID 4327529.
- ↑ “TGF-beta1-mediated fibroblast-myofibroblast terminal differentiation-the role of Smad proteins”. 《Experimental Cell Research》 282 (2): 90–100. January 2003. doi:10.1016/S0014-4827(02)00015-0. PMID 12531695.
- ↑ “Transforming growth factor-β1 (TGF-β1)-stimulated fibroblast to myofibroblast differentiation is mediated by hyaluronan (HA)-facilitated epidermal growth factor receptor (EGFR) and CD44 co-localization in lipid rafts”. 《The Journal of Biological Chemistry》 288 (21): 14824–38. May 2013. doi:10.1074/jbc.M113.451336. PMC 3663506. PMID 23589287.
- ↑ “Electrotonic coupling of excitable and nonexcitable cells in the heart revealed by optogenetics”. 《Proceedings of the National Academy of Sciences of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113 (51): 14852–14857. December 2016. doi:10.1073/pnas.1611184114. PMC 5187735. PMID 27930302.
- ↑ “Novel therapeutic strategies targeting fibroblasts and fibrosis in heart disease”. 《Nature Reviews. Drug Discovery》 15 (9): 620–38. September 2016. doi:10.1038/nrd.2016.89. PMC 5152911. PMID 27339799.
- ↑ BBC New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