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본문으로 이동

차례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TedBot (토론 | 기여)님의 2023년 4월 13일 (목) 13:04 판 (봇: 문자열 변경 (]]또는 → ]] 또는 ))
(차이) ← 이전 판 | 최신판 (차이) | 다음 판 → (차이)

차례(茶禮)는 가정마다 설날추석에 아침 일찍이 지내는 약식 제사를 말한다. 일반적인 제사와는 다르다. 가풍에 따라 정월 대보름, 초파일, 단오, 백중, 동지에도 차례를 지내는 집이 있다.

상 뒤로는 병풍을 둘러치고 지방(紙榜)을 병풍에 붙이거나 위패를 제사상에 세워 놓고 차례를 지낸다.

차례상 차리는 법

[편집]
  • 차례상을 차리는 법은 가정에 따라 약간 차이가 있으나 조선시대 주자가례에 따르면 과일 방향과 놓는 순서는 정해져있는 게 아니다

대체로 앞줄에는 과일한과를 진설하며 붉은 과일은 동쪽, 흰 과일은 서쪽에 놓고, 가운데에 한과를 놓는다.

  • 둘째 줄에는 나물류를 놓되, 포(脯)는 왼쪽, 식혜 또는 어해는 오른쪽, 마른 것은 왼쪽, 젖은 것은 오른쪽에 놓으며(좌포우혜,해) 나물류인 김치·청장(淸奬)·숙채(熟菜)는 가운데에 놓는다.
  • 셋째 줄에는 |탕(湯)을 놓는데, 다섯 가지 맛을 갖춘 탕으로 단탕(單湯)·삼탕(三湯)·오탕(五湯)·칠탕(七湯) 등이라 하여, 어탕(魚湯)은 동쪽에, 육탕(肉湯)은 서쪽에, 소탕(蔬湯)은 가운데에 놓는다(어동육서).
  • 넷째 줄에는 적(炙:불에 굽거나 찐 것)과 전(煎:기름에 튀긴 것)을 벌여 놓는데, 어류는 동쪽에, 육류는 서쪽에 놓는다(어동육서). 이 경우 생선의 머리는 동쪽으로, 꼬리는 서쪽으로 향하게 한다(두동미서).
  • 다섯째 줄에는 을 놓는데, 밥은 왼쪽, 국은 오른쪽, 또 은 오른쪽, (麵)은 왼쪽에 각각 놓는다. 가풍에 따라 밥과 국 대신 설에는 떡국을, 추석에는 송편을, 단오에는 수리취떡을 올린다.

조선시대에 주자가례에 따르면 위의 제사나 차례상의 순서는 없었고 전을 부치지 않았다. 현대 제사상은 60년대 정부의 제사지내는 법을 따른것이다.[1] 그리고 차례상 앞에는 조그마한 향로를 얹은 을 놓는데, 상 가운데에 향로를, 오른쪽에 향합, 향로 왼쪽에 축문(祝文)을 놓으며, 그 상 아래에는 왼쪽에 모사그릇과 퇴주그릇을, 오른쪽에는 술병을 놓는다.

복장은 한복 차림이 기본이며, 설차례에는 색동저고리 등 화려한 옷차림도 허용된다. 한복을 입고 차례를 지낼 때 남자들은 두루마기를 입는다.

기타

[편집]

그러나 맛칼럼니스트인 황교익은 지금의 차례상에는 정작 제철 음식이 없다고 비판한다. 지금의 차례상은 예전부터 전해 내려온 것이 아니라, 길어야 일제강점기, 짧으면 6·25전쟁 이후부터 전해 내려온 것이라는 것이다.[2][3]

각주

[편집]

참고 자료

[편집]
이 문서에는 다음커뮤니케이션(현 카카오)에서 GFDL 또는 CC-SA 라이선스로 배포한 글로벌 세계대백과사전의 내용을 기초로 작성된 글이 포함되어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