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본문으로 이동

WOH S264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Tc06cimaron (토론 | 기여)님의 2024년 4월 26일 (금) 00:00 판 (영어 위키백과의 WOH S264 문서의 2024년 04월 16일 18시 10분 버전을 참조하였습니다.)
(차이) ← 이전 판 | 최신판 (차이) | 다음 판 → (차이)

WOH S264

WOH S264의 DSS2 이미지, 중앙에 위치한다.
관측 정보
역기점 J2000.0      분점 J2000.0
별자리 황새치자리 (LMC)
적경 05h 24m 19.3095s[1]
적위 -69° 38′ 49.374″[1]
겉보기등급 (V) 14.271[2]
특성
진화 단계 적색초거성
스펙트럼 종류 M3 I[3]
겉보기등급 (U) 19.519[4]
겉보기등급 (B) 16.688[4]
겉보기등급 (R) 11[4]
겉보기등급 (G) 12.135779[5]
겉보기등급 (I) 10.804[4]
겉보기등급 (J) 8.36[4]
겉보기등급 (H) 7.375[4]
겉보기등급 (K) 6.809[4]
위치천문학
시선속도 (Rv)263.49±1.02[6] km/s
연주 시차 (π)0.0457 ± 0.027 mas[5]
거리45,590[7] pc
상세
질량24.9[8] M
반지름1,390+130
−110
[3] R
광도282,000+49,300
−42,000
[3] L
표면중력 (log g)+0.5±0.1[3] cgs
유효온도3,570+59
−46
[3] K
천체 명칭
WOH S264, LI-LMC 976, MSX LMC 461, RM 1-339, SP77 47-10[1]
데이터베이스 자료
SIMBAD데이터

WOH S264 ([W60] B90)는 대마젤란 은하에 존재하는 크고 매우 밝은[3] 적색초거성이다.

발견

WOH S264는 1956년 칼 고든 헤니즈대마젤란 은하의 H-알파 방출성과 성운 목록에서 발견했다. 그는 그것을 LHA 120-N 132E로 명명했는데, 이는 플레이트 120의 방출선 성운 132E를 나타낸다. LHA는 원래 LHα였으며 라몬-허시 천문대에서 확인된 H-알파 방출 천체를 나타낸다.[9]

WOH S264라는 명칭은 웨스터룬드, 올랜더 및 헤딘의 1981년 조사에서의 초거성 264임을 나타낸다.[10]

성질

WOH S264는 대마젤란 은하에서 가장 반지름이 크고 가장 광도가 높은 적색초거성 중 하나로 여겨지며, 광도는 태양광도 280,000배 이상, 반지름은 태양반경 약 1,390배이다.[3] 광도와 반경 범위를 더 확실하게 제한하기 위해서는 추가 조사가 필요하다.[3]

같이 보기

각주

  1. “[W60] B90”. Université de Strasbourg. 
  2. Ulaczyk, K.; Szymański, M. K.; Udalski, A.; Kubiak, M.; Pietrzyński, G.; Soszyński, I.; Wyrzykowski, Ł.; Poleski, R.; Gieren, W.; Walker, A. R.; Garcia-Varela, A. (2013년 6월 20일). “Variable Stars from the OGLE-III Shallow Survey in the Large Magellanic Cloud”. 《Acta Astronomica》 63 (2): 159–179. arXiv:1306.4802. Bibcode:2013AcA....63..159U. 
  3. de Wit, S.; Bonanos, A.Z.; Tramper, F.; Yang, M.; Maravelias, G.; Boutsia, K.; Britavskiy, N.; Zapartas, E. (2023). “Properties of luminous red supergiant stars in the Magellanic Clouds”. 《Astronomy and Astrophysics》 669: 17. arXiv:2209.11239. Bibcode:2023A&A...669A..86D. doi:10.1051/0004-6361/202243394. S2CID 252519285. 
  4. Kamath, D.; Wood, P. R.; Van Winckel, H. (2015년 8월 4일). “Optically visible post-AGB stars, post-RGB stars and young stellar objects in the Large Magellanic Cloud”. 《The Royal Astronomical Society》 454 (2): 1468–1502. arXiv:1508.00670. Bibcode:2015MNRAS.454.1468K. doi:10.1093/mnras/stv1202. 
  5. Brown, A. G. A.; 외. (Gaia collaboration) (2021). “Gaia Early Data Release 3: Summary of the contents and survey properties”. 《Astronomy & Astrophysics649: A1. arXiv:2012.01533. Bibcode:2021A&A...649A...1G. doi:10.1051/0004-6361/202039657. S2CID 227254300.  (정오표: doi 10.1051/0004-6361/202039657e). 이 출처의 Gaia EDR3 기록 - VizieR.
  6. Vallenari, A.; 외. (Gaia collaboration) (2023). “Gaia Data Release 3. Summary of the content and survey properties”. 《Astronomy and Astrophysics》 674: A1. arXiv:2208.00211. Bibcode:2023A&A...674A...1G. doi:10.1051/0004-6361/202243940. S2CID 244398875.  이 출처의 Gaia DR3 기록 at VizieR.
  7. Pietrzyński, G.; Graczyk, D.; Gallenne, A.; Gieren, W.; Thompson, I. B.; Pilecki, B.; Karczmarek, P.; Górski, M.; Suchomska, K.; Taormina, M.; Zgirski, B.; Wielgórski, P.; Kołaczkowski, Z.; Konorski, P.; Villanova, S.; Nardetto, N.; Kervella, P.; Bresolin, F.; Kudritzki, R. P.; Storm, J.; Smolec, R.; Narloch, W. (2019). “A distance to the Large Magellanic Cloud that is precise to one per cent”. 《Nature》 567 (7747): 200–203. arXiv:1903.08096. Bibcode:2019Natur.567..200P. doi:10.1038/s41586-019-0999-4. PMID 30867610. S2CID 76660316. 
  8. Ren, Yi; Jiang, Bi-Wei (2020년 7월 20일). “On the Granulation and Irregular Variation of Red Supergiants”. 《The Astrophysical Journal》 (영어) 898 (1): 24. arXiv:2006.06605. Bibcode:2020ApJ...898...24R. doi:10.3847/1538-4357/ab9c17. ISSN 1538-4357. 
  9. Henize, Karl G. (1956년 5월 5일). “Catalogues of Hα-emission Stars and Nebulae in the Magellanic Clouds.”. 《Astrophysical Journal》 2: 315. Bibcode:1956ApJS....2..315H. doi:10.1086/190025. 
  10. Westerlund, B. E.; Olander, N.; Hedin, B. (1981). “Supergiant and giant M type stars in the Large Magellanic Cloud”. 《Astronomy & Astrophysics Supplement Series》 43: 267–295. Bibcode:1981A&AS...43..267W.