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동분
중동분(衆同分, 산스크리트어: nikāya-sabhāga, 영어: the same basis[1]) 또는 줄여서 동분(同分, 산스크리트어: sabhāga)은 다음의 분류, 그룹 또는 체계의 한 요소이다.
- 부파불교의 설일체유부의 5위 75법의 법체계에서 4번째 위(位: 그룹)인 불상응행법(不相應行法: 14가지) 가운데 하나이다.
- 대승불교의 유식유가행파와 법상종의 5위 100법의 법체계에서 4번째 위(位: 그룹)인 심불상응행법(心不相應行法: 24가지) 가운데 하나이다.
중동분에서 중(衆, 산스크리트어: nikāya)은 그룹(group), 부(部, sect), 류(類, division), 무리(class, assembly)를 뜻한다.[2] 동분(同分, 산스크리트어: sabhāga)은 공통된(common), 같은 류에 속한(being of the same division), 유사한(similar)을 뜻한다.[3] 따라서 중동분의 문자 그대로의 뜻은 '무리의 공통성', '무리의 유사성' 또는 '무리가 같은 류에 속한 것'이다.
부파불교의 설일체유부의 교학에 따르면, 중동분 또는 동분은 유정으로서의 동등함[類等] 즉 유정의 동류성(同類性) 또는 동류상사성(同類相似性)을 말한다.[4][5][6][7] 달리 말하면, 온갖 유정이 존재로서의 동등함[類等]을 갖고 전전(展轉)하는 것을 말한다. 또한 이들 유정이 전전하면서 욕락(欲樂: 원하고 즐겨함)하는 근거[分, 즉 因]를 동분 또는 중동분이라 한다.[8][9][10][11] 대승불교의 유식유가행파의 교학에서도, 중동분 또는 동분은 설일체유부와 같이 유정의 유사성 또는 전통적인 용어로 유정의 상사성(相似性)으로 정의된다.[12][13][14]
설일체유부에서는 이와 같은 성질이 하나의 실체인 것으로 보아 실재하는 별도의 법이라고 파악하고 있다. 따라서 중동분 또는 동분이라는 별도의 법이 있어서 그 작용 때문에 유정의 유사성이 발생하고 유지되는 것이라고 본다.[1][15] 즉, 유정이 중동분이라는 법을 득함에 따라 해당되는 유사성이 나타나고 유지되는 것이라고 본다. 예를 들어, 인간[人]으로서의 중동분을 득하면 인간으로서 나타나고 천인[天]으로서의 중동분을 득하면 천인으로서 나타난다고 본다.[8][9] 이와 같이 설일체유부에서는 중동분을 별개의 실법(實法)으로 보는데, 이와는 달리 부파불교의 경량부와 대승불교의 유식유가행파는 중동분을 가법(假法)으로 본다. 즉, 유정들이 부류에 따라 그들의 자체(自體: 자신이 가진 본질적 성질, 즉 자신의 몸과 마음)가 서로 비슷한 것[自體相似]을 실재하는 법인 것처럼 가립한 것이라고 본다.[10][11][16][17][18]
《구사론》에 따르면, 중동분 또는 동분은 유정동분(有情同分, 산스크리트어: sattva-sabhāga)과 법동분(法同分, 산스크리트어: dharma-sabhāga)의 2가지로 나뉜다. 유정동분은 중생동분(眾生同分, 산스크리트어: sattva-sabhāga)이라고도 하는데 다시 무차별동분(無差別同分, 산스크리트어: abhinna-sabhāga)과 유차별동분(有差別同分, 산스크리트어: bhinna-sabhāga)의 2가지로 나뉜다.[6][7][10]
정의
편집부파불교
편집아비달마품류족론
편집이 문단은 비어 있습니다. 내용을 추가해 주세요. |
아비달마구사론
편집이 문단은 비어 있습니다. 내용을 추가해 주세요. |
아비달마순정리론
편집이 문단은 비어 있습니다. 내용을 추가해 주세요. |
대승불교
편집유가사지론
편집이 문단은 비어 있습니다. 내용을 추가해 주세요. |
현양성교론
편집이 문단은 비어 있습니다. 내용을 추가해 주세요. |
대승아비달마집론·잡집론
편집이 문단은 비어 있습니다. 내용을 추가해 주세요. |
대승오온론·광오온론
편집이 문단은 비어 있습니다. 내용을 추가해 주세요. |
대승백법명문론·해
편집이 문단은 비어 있습니다. 내용을 추가해 주세요. |
성유식론
편집이 문단은 비어 있습니다. 내용을 추가해 주세요. |
분류
편집유정동분·중생동분
편집무차별동분
편집이 문단은 비어 있습니다. 내용을 추가해 주세요. |
유차별동분
편집이 문단은 비어 있습니다. 내용을 추가해 주세요. |
법동분
편집이 문단은 비어 있습니다. 내용을 추가해 주세요. |
참고 문헌
편집- 고려대장경연구소. 《고려대장경 전자 불교용어사전》. 고려대장경 지식베이스 / (사)장경도량 고려대장경연구소.
|title=
에 외부 링크가 있음 (도움말) - 곽철환 (2003). 《시공 불교사전》. 시공사 / 네이버 지식백과.
|title=
에 외부 링크가 있음 (도움말) - 권오민 (1991). 《경량부철학의 비판적 체계 연구》. 동국대학원 철학박사 학위논문.
- 무착 지음, 현장 한역 (K.571, T.1602). 《현양성교론》. 한글대장경 검색시스템 - 전자불전연구소 / 동국역경원. K.571(16-1), T.1602(31-480).
|title=
에 외부 링크가 있음 (도움말) - 미륵 지음, 현장 한역, 강명희 번역 (K.614, T.1579). 《유가사지론》. 한글대장경 검색시스템 - 전자불전연구소 / 동국역경원. K.570(15-465), T.1579(30-279).
|title=
에 외부 링크가 있음 (도움말) - 세우 지음, 현장 한역, 송성수 번역 (K.949, T.1542). 《아비달마품류족론》. 한글대장경 검색시스템 - 전자불전연구소 / 동국역경원. K.949(25-149), T.1542(26-692).
|title=
에 외부 링크가 있음 (도움말) - 세친 지음, 현장 한역, 권오민 번역 (K.955, T.1558). 《아비달마구사론》. 한글대장경 검색시스템 - 전자불전연구소 / 동국역경원. K.955(27-453), T.1558(29-1).
|title=
에 외부 링크가 있음 (도움말) - 세친 지음, 현장 한역, 송성수 번역 (K.618, T.1612). 《대승오온론》. 한글대장경 검색시스템 - 전자불전연구소 / 동국역경원. K.618(17-637), T.1612(31-848).
|title=
에 외부 링크가 있음 (도움말) - 세친 지음, 현장 한역, 송성수 번역 (K.644, T.1614). 《대승백법명문론》. 한글대장경 검색시스템 - 전자불전연구소 / 동국역경원. K.644(17-808), T.1614(31-855).
|title=
에 외부 링크가 있음 (도움말) - 운허. 동국역경원 편집, 편집. 《불교 사전》.
|title=
에 외부 링크가 있음 (도움말) - (중국어) 무착 조, 현장 한역 (T.1602). 《현양성교론(顯揚聖敎論)》. 대정신수대장경. T31, No. 1602, CBETA.
|title=
에 외부 링크가 있음 (도움말) - (중국어) 미륵 조, 현장 한역 (T.1579). 《유가사지론(瑜伽師地論)》. 대정신수대장경. T30, No. 1579. CBETA.
|title=
에 외부 링크가 있음 (도움말) - (중국어) 佛門網. 《佛學辭典》. 佛門網 / Buddhistdoor.
|title=
에 외부 링크가 있음 (도움말) - (중국어) 星雲. 《佛光大辭典(불광대사전)》 3판.
|title=
에 외부 링크가 있음 (도움말) - (중국어) 세우 조, 현장 한역 (T.1542). 《아비달마품류족론(阿毘達磨品類足論)》. 대정신수대장경. T26, No. 1542, CBETA.
|title=
에 외부 링크가 있음 (도움말) - (중국어) 세친 조, 현장 한역 (T.1558). 《아비달마구사론(阿毘達磨俱舍論)》. 대정신수대장경. T29, No. 1558, CBETA.
|title=
에 외부 링크가 있음 (도움말) - (중국어) 세친 조, 현장 한역 (T.1612). 《대승오온론(大乘五蘊論)》. 대정신수대장경. T31, No. 1612, CBETA.
|title=
에 외부 링크가 있음 (도움말) - (중국어) 세친 조, 현장 한역 (T.1614). 《대승백법명문론(大乘百法明門論)》. 대정신수대장경. T31, No. 1614, CBETA.
|title=
에 외부 링크가 있음 (도움말)
각주
편집- ↑ 가 나 고려대장경연구소, "중동분 衆同分". 2013년 1월 29일에 확인
"중동분 衆同分
ⓟ
ⓣrigs ’thun pa
ⓢnikāya-sabhāga
ⓔthe same basis
1]같은 종류의 법(法)이라는 성질. 유정(有情)의 공통성. 여러 생명의 존재를 서로 유사하게 만드는 요소, 힘, 원리. 예를 들어 인간은 인간으로, 원숭이는 원숭이로 태어나게 하는 것." - ↑ 佛門網, "nikāya". 2013년 1월 29일에 확인
"nikāya
出處: A Dictionary of Buddhism, Oxford University Press, 2003, 2004 (which is available in electronic version from answer.com)
解釋: Nikāya (Sanskrit; Pāli, assembly). 1. The five collections of texts that constitute the Sūtra Piṭaka of the Pāli Canon, namely: (i) Dīgha Nikāya (Collection of Long Discourses); (ii) Majjhima Nikāya (Collection of Medium Discourses); (iii) Saṃyutta Nikāya (Collection of Connected Discourses); (iv) Aṇguttara Nikāya (Collection of Incremental Discourses); (v) Khuddaka Nikāya (Collection of Lesser Discourses). See also Āgama. 2. A group of monks or a monastic order.
出處: Pali-English Dictionary, TW Rhys Davids, William Stede,
解釋: Nikāya [Sk. nikāya, ni+kāya] collection ("body") assem- blage, class, group; 1. generally (always -- ˚): eka˚ one class of beings DhsA 66; tiracchāna˚ the animal kingdom S iii.152; deva˚ the assembly of the gods, the gods D ii.261 (60); M i.102; S iv. 180; A iii.249; iv.461; PvA 136; satta˚ the world of beings, the animate creation, a class of living beings S ii.2, 42, 44; M i.49 (tesaŋ tesaŋ sattānaŋ tamhi tamhi s. -- nikāye of all beings in each class); Vbh 137; PvA 134. -- 2. especially the coll. of Buddhist Suttas, as the 5 sections of the Suttanta Piṭaka, viz. Dīgha˚, Majjhima˚, Saŋyutta˚, Anguttara˚ (referred to as D.M.S.A. in Dictionaryquotations), Khuddaka˚; enumd PvA 2; Anvs p. 35; DhA ii.95 (dhammāsanaŋ āruyha pañcahi nikāyehi atthañ ca kāraṇañ ca ākaḍḍhitvā). The five Nikāyas are enumd also at Vism 711; one is referred to at SnA 195 (pariyāpuṇāti master by heart). See further details under piṭaka. Cp. nekāyika.
出處: 巴漢辭典 編者:(斗六) 廖文燦
解釋: m. 1.部 2.類
出處: Sarvastivada Abhidharma, Sanskrit-English Glossary, by Bhikkhu KL Dhammajoti
解釋: nikāya: 1. Group, Division. 2. A Buddhist sect." - ↑ 佛門網, "sabhāga". 2013년 1월 29일에 확인
"sabhāga
出處: A.P. Buddhadatta Mahathera, Concise Pali-English and English-Pali Dictionary [available as digital version from Metta Net, Sri Lanka]
解釋: sabhāga : [adj.] common; being of the same division.
出處: Sanskrit-English Dictionary, by M. Monier William
解釋: ○gá mfn. (for sa-bhāga See above) going into an assembly or council ŚBr. ChUp
出處: Pali-English Dictionary, TW Rhys Davids, William Stede,
解釋: Sabhāga (adj.) [sa2+bhāga] common, being of the same division Vin ii.75; like, equal, similar Miln 79; s. āpatti a common offence, shared by all Vin i.126 sq.; vīthisabhāgena in street company, the whole street in common J ii.45; opp. visabhāga unusual J i.303; different Vism 516; Miln 79. -- ṭṭhāna a common room, a suitable or convenient place J i.426; iii.49; v.235. -- vuttin living in mutual courtesy, properly, suitably Vin i.45; J i.219; a -- sabhāgavuttin J i.218; sabhāgavuttika Vin ii.162; A iii.14 sq.; a -- sabhāgavuttika ibid.
出處: Sarvastivada Abhidharma, Sanskrit-English Glossary, by Bhikkhu KL Dhammajoti
解釋: sabhāga: Homogenous, similar.
出處: Sanskrit-English Dictionary, by M. Monier William
解釋: ○bhāga mfn. (for sabhā-ga See under sabhā) having a share ( See comp.)
• common, universal Buddh
• corresponding, answering ib
• -tā f. participation, companionship, association ib
• ○gaya Nom. ○yáti, to impart AV" - ↑ 세우 조, 현장 한역 & T.1542, 제1권. p. T26n1542_p0694a23 - T26n1542_p0694a24. 중동분(衆同分)
"眾同分云何。謂有情同類性。" - ↑ 세우 지음, 현장 한역, 송성수 번역 & K.949, T.1542, 제1권. p. 11 / 448. 중동분(衆同分)
"중동분(衆同分)이란 무엇인가? 유정으로서 같은 종류가 되는 성품[同類性]을 말하는 것이다." - ↑ 가 나 세친 조, 현장 한역 & T.1558, 제5권. p. T29n1558_p0024a07 - T29n1558_p0024a18. 동분(同分)
"同分者何。頌曰。
同分有情等
論曰。有別實物名為同分。謂諸有情展轉類等。本論說此名眾同分。此復二種。一無差別。二有差別。無差別者。謂諸有情有情同分。一切有情各等有故。有差別者。謂諸有情界地趣生種姓男女近事苾芻學無學等各別同分。一類有情各等有故。復有法同分。謂隨蘊處界。若無實物無差別相名同分者。展轉差別諸有情中。有情有情等無差別。覺及施設不應得有。如是蘊等等無差別覺及施設如理應知。" - ↑ 가 나 세친 지음, 현장 한역, 권오민 번역 & K.955, T.1558, 제5권. pp. 210-211 / 1397. 동분(同分)
"동분(同分)이란 무엇인가? 게송으로 말하겠다.
동분이란 유정의 동등함이다.1)
同分有情等
논하여 말하겠다. 또 다른 개별적 실체[別實物]가 존재하니, 이름하여 동분(同分)이라고 한다. 이것은 이를테면 온갖 유정이 존재로서의 동등함[類等]을 갖고 전전(展轉)하는 것을 말하는데, 본론(本論)에서는 이를 중동분(衆同分)이라고 이름하였다.2) 여기에는 다시 두 가지의 종류가 있으니, 첫 번째는 유차별 동분이며, 둘째는 무차별 동분이다. 무차별 동분이란 이를테면 온갖 유정의 '유정으로서의 동분'을 말하니, 일체의 유정에는 각기 [유정으로서의] 동등함이 있기 때문이다. 유차별 동분이란 이를테면 온갖 유정의 3계(界)·9지(地)·5취(趣)·4생(生)·4종(種,바라문 등의 4종성)·성(姓)·남·여·근사(近事, 재가자)·필추(苾芻, 출가자)·학(學)·무학(無學) 등의 각기 다른 동분을 말하니, 한 종류의 유정으로서 각기 동등함이 있기 때문이다.3) 다시 법동분이 있으니, 이를테면 온(蘊)·처(處)·계(界)에 따른 것을 말한다.4) 만약 동분이라 이름하는 실체[實物]로서의 무차별상(즉 보편성)이 존재하지 않는다면 전전(展轉)하여 차별된 온갖 유정 사이에는 유정과 유정이 동등하여 어떠한 차별도 없다는 인식[覺]도, 시설(施設)도 있을 수 없게 될 것이다.5) 이와 마찬가지로 온(蘊) 따위에 대해서도 [이 온과 저 온은] 동등하여 어떠한 차별도 없다는 인식과 시설이 있을 수 없다는 것을 마땅히 참답게 알아야 할 것이다.
1) 여기서 동분(sabhāgat )이란 온갖 유정을 유정이게끔 하는 동류상사성(causes of resemblance between living beings, similarity), 혹은 보편성(common characteristic of sentient beings), 내지는 비유정과 차별시키는 고유성·특수성을 말하는 것으로, 유부에서는 이를 자성을 지닌 개별적 실체[別實物]로 간주하고 있다.
2) 여기서 '본론'이란 『발지론』 권제2(대정장 26, p. 926중). 『품류족론』 권제1(대정장 26, p. 692하) 에도 나온다. 즉 송문에서는 제한된 자수(字數)로 인해 동분이라 하였으나, 완전한 명칭은 중동분(衆同分, nikāya-sabhāgat )이다.
3) 무차별(abhinna) 동분은 유정으로서의 보편성 즉 보다 높은 보편이라 할 수 있고, 유차별(bhinna) 동분은 각각의 유정의 차별에 따라 욕계, 인간, 크샤트리야, 샤캬(族姓), 남자, 필추(출가자), 무학(아라한)으로 서의 보편성 즉 낮은 보편이라 할 수 있다. 참고로 전자는 인업(引業, 구역은 總報業)에 의해 생겨나고, 후자는 만업(滿業, 구역은 別報業)에 의해 생겨난다.(『현종론』 권제7, 한글대장경 200, p. 167-168)
4) 동분은 오로지 유정에만 존재하지만, 유정의 소의가 되는 5온·12처·18계와 같은 법은 일체 유정에 공통되는 것이기 때문에 법동분으로 설정하기도 한다. 비유정 동분을 세우지 않는 이유에 대해서는 주9)를 참조 할 것.
5) 즉 유부에서는 이러한 유정의 동류상사성인 동분이 존재하지 않는다면 개별적인 제 유정을 보편적 존재 [無差別相]로서 인식[覺, buddhi]할 수도 없고, 그것을 다른 유정과 차별시켜 언급[施設, prjñāpti]할 수도 없을 것이기 때문에 이것이 개별적인 실체[別實物]로서 실재하지 않으면 안 된다는 것이다. 다시 말해 인간과 축생, 남자와 여자 등을 분별하는 데에는 각각의 동류상사성인 동분이 작용하고 있기 때문이라는 것이다." - ↑ 가 나 중현 조, 현장 한역 & T.1562, 제12권. p. T29n1562_p0400a15 - T29n1562_p0400b04. 동분(同分)
"同分者何。頌曰。
同分有情等
論曰。有別實物。名為同分。謂諸有情。展轉類等。本論說此。名眾同分。一趣等生。諸有情類。所有身形。諸根業用。及飲食等。互相似因。并其展轉相樂欲因。名眾同分。如鮮淨色業心大種。皆是其因。故身形等。非唯因業。現見身形。是更相似。業所引果。諸根業用。及飲食等。有差別故。若謂滿業有差別故。此差別者。理不應然。或有身形。唯由相似引業所起。以眾同分有差別故。業用等別。若身形等。唯業果者。隨其所樂業用等事。若捨若行應不得有。此中身形業用樂欲。展轉相似。故名為同。分是因義。有別實物是此同因。故名同分。如是同分。世尊唯依諸有情說。非草木等。故契經言。此天同分。此人同分。乃至廣說。就界趣生處身等別。有無量種有情同分。復有法同分。謂隨蘊處界。異生同分入離生時捨。有情同分入涅槃時捨。" - ↑ 가 나 중현 지음, 현장 한역, 권오민 번역 & K.956, T.1562, 제12권. pp. 566-569 / 3087. 동분(同分)
"동분(同分)이란 무엇인가? 게송으로 말하겠다.
동분이란 유정의 동등함이다.64)
同分有情等
논하여 말하겠다. 또 다른 개별적 실체[別實物]가 존재하니, 이름하여 동분(同分)이라고 한다. 이것은 이를테면 온갖 유정이 존재로서의 동등함[類等]을 갖고 전전(展轉)하는 것을 말하는데, 본론(本論)에서는 이를 중동분(衆同分)이라고 이름하였다.65) 즉 동일한 취(趣)에서 동등하게 태어난 온갖 유정은 동일한 신체적 형태와 제근(諸根)의 작용을 소유하며, 나아가 먹고 마시는 것 등이 서로 유사한데, 이러한 유사성의 근거와, 아울러 그들이 전전하면서 서로 욕락(欲樂)하는 근거를 중동분이라고 하였다. 이를테면 선명한 정색(淨色)이나 업ㆍ마음ㆍ대종과 같은 것도 모두 바로 그러한 [유사성의] 근거가 되기 때문에, 신체적 형태 따위는 오로지 업만을 근거로 한 것이 아니다. 신체의 형태를 지금 바로 보건대, 이것은 서로 유사한 업에 의해 낳아진 결과이니, 제근의 작용이나 먹고 마시는 것 등에 차별이 있기 때문이다.66) 그러나 만약 ‘만업(滿業)에 차별이 있기 때문에 이것에도 차별이 있다’고 한다면, 이치상 마땅히 그렇지 않을 것이니, 어떤 [유정의] 신체적 형태는 오로지 서로 유사한 인업(引業)에 의해 생겨난 것으로, 중동분에 차별이 있기 때문에 업용(業用) 등에도 차별이 있는 것이다.67) 그런데 만약 신체적 형태 따위가 오로지 업의 과보일 뿐이라고 한다면, 그들이 욕락하는 바에 따라 업용 등의 일을 혹은 버리기도 하고, 혹은 행하기도 하므로 마땅히 존재해야 할 것을 획득하지 않아야 하는 것이다.68) 여기서 신체적 형태나 업용, 욕락은 서로 유사하게 전전하기 때문에 ‘동(同)’이라고 일컬은 것이며, ‘분’이란 바로 근거[因]의 뜻이다. 즉 어떤 개별적인 실체가 존재하여 바로 이러한 동등함의 근거가 되기 때문에 ‘동분’이라고 이름한 것이다. 그리고 세존께서는 이와 같은 동분을 오로지 온갖 유정에 근거하여 설하였을 뿐 초목 등에 근거하여 설하지는 않았다. 그래서 계경에서는 “이것은 천(天)의 동분이며, 이것은 인간의 동분이다.--(이하 자세한 내용은 생략함)--”고 말하고 있는 것이다. 또한 [온갖 유정의 형색이 서로간에 유사하다고는 설하지 않았기 때문에], 계(界, 3계)ㆍ취(趣, 5취)ㆍ생(生, 4생)ㆍ처(處, 4종성)ㆍ신(身, 남여 등의 신체) 등의 차별에 근거한 이루 헤아릴 수 없는 종류의 유정동분이 존재한다.69) 또한 법의 동분도 존재하니, 이를테면 온(蘊)ㆍ처(處)ㆍ계(界)에 수반되는 것을 말한다.70) 나아가 이생의 동분은 정성이생(正性離生, 견도위를 말함)에 들 때 버려지고, 유정의 동분은 열반에 들 때 버려진다.
63) 어떤 법을 획득하게 하고 획득하지 않게 하는 것이 득과 비득이라면, 그것을 다시 획득하게 하고 획득하지 않게 하는 득과 비득이 있어야 하고, 마침내 무한소급에 빠지게 된다. 그래서 유부에서는 본법을 획득하게 하는 득을 대득(大得, 비득은 大非得)이라 하고, 대득을 획득하게 하는 득을 소득(小得, 비득은 小非得)이라고 하여, 대득은 본법과 소득을 획득하고, 소득은 대득을 획득하는 것이라고 논의하고 있는 것이다. 이러한 논의형태는 유위 4상(相)의 본상(本相,이를테면 生相)과 수상(隨相,이를테면 生生相)의 경우와 동일하다.(본론 제13권 참조)
64) 여기서 동분(sabhāgatā)이란 온갖 유정을 유정이게끔 하는 동류상사성(causes of resemblance between living beings, similarity), 혹은 보편성(common characteristic of sentient beings), 내지는 비유정과 차별시키는 고유성ㆍ특수성을 말하는 것으로, 유부에서는 이를 자성을 지닌 개별적 실체[別實物]로 간주하고 있다.
65) 여기서 ‘본론’이란 『발지론』 제2권(대정장26,p.926중). 『품류족론』 제1권(대정장26,p.692하)에도 나온다. 즉 송문에서는 제한된 자수(字數)로 인해 동분이라 하였으나, 완전한 명칭은 중동분(衆同分,nikāya-sabhāgatā)이다.
66) 인간과 축생은 업에 의해 초래된 것이지만, 제근(諸根)의 작용이나 먹고 마시는 것이 같고 다른 것은 그러한 업에 유사성과 차별성(즉 중동분)이 존재하기 때문이라는 뜻.
67) 유부 제법분별에 따르면 유정은 유정으로서의 보편성 즉 동분을 갖기 때문에 유정이라 불리는 것으로, 그 같은 동분을 획득할 때 비로소 유정의 생이 낳아지게 된다. 따라서 한 유정의 생을 현상시키는 보편적 동분(무차별동분)은 하나의 업에 의해 초래되는데, 이러한 업을 인업(구역은 總報業)이라 하며, 남녀ㆍ빈부ㆍ귀천 등 어떤 한 생의 내용을 구성하는 개별적 동분(유차별동분)은 다수의 업에 의해 초래되는데, 이러한 업을 만업(구역은 別報業)이라 한다. 여기서의 논의는 인간이나 축생 등의 신체적 형태는 보편적 동분에 근거한 인업에 의해 초래된다는 것이다.
68) 유정, 이를테면 인간의 신체적 형태가 오로지 업의 소산이라면, 업은 욕락(欲樂)하는 바에 따라 행할 수도 있고 행하지 않을 수도 있기 때문에 서로간에 동류상사성이 없어야 한다는 뜻.
69) 『구사론』 제5권(권오민 역, 동국역경원2002, p.210-211)에 따르면, 유정의 보편성에 근거한 동분을 ‘무차별(abhinna) 동분’이라 하였고, 유정의 차별적 형색에 근거한 동분을 ‘유차별(bhinna) 동분’이라 하였다. 즉 전자가 보다 높은 보편이라면, 후자는 각각의 유정의 차별에 따라 욕계, 인간, 크샤트리야, 샤캬(族姓), 남자, 필추(출가자), 무학(아라한)으로서의 보편성 즉 낮은 보편이라 할 수 있다. 본론에서는 이러한 술어를 사용할 경우 후술하는 바이세시카(Vaiśeṣika,勝論) 학파와의 변별성을 상실할 것이기 때문에 고의로 삭제한 것으로 생각된다.
70) 동분은 오로지 유정에만 존재하지만, 유정의 소의가 되는(다시 말해 중동분의 근거가 되는) 5온ㆍ12처ㆍ18계와 같은 법은 일체 유정에 공통되는 것이기 때문에 법동분으로 설정하기도 한다. 비유정 동분을 세우지 않는 이유에 대해서는 주73)을 참조할 것." - ↑ 가 나 다 星雲, "眾同分". 2013년 1월 29일에 확인
"眾同分: 梵語 nikāya-sabhāga。略稱同分(梵 sabhāga)。俱舍七十五法之一,唯識百法之一。唯識、俱舍宗以其為心不相應行法之一。指眾生的共性或共因。即眾多有情具有同類之性,或使有情眾生得同等類似果報之因。分,即因之義。
同分可分為有情同分(梵 sattva-sabhāga)與法同分(梵 dharma-sabhāga)二種。(一)有情同分,又作眾生同分,可分為二:(1)使一切有情眾生同等類似之同分,稱為無差別(梵 abhinna)同分。(2)有情眾生隨著三界、九地、男、女、畜生等之分別,而各成一類,然於自類當中,卻具有共同之性質。此種各別之同分,稱為有差別(梵 bhinna)同分。(二)法同分,指有情所依之五蘊、十二處、十八界等法,自類之法相似。如色法相互類似,左右眼相互類似之同分。又於說一切有部,主張同分具有實體;經部及大乘則以為同分乃假法。〔大毘婆沙論卷二十七、順正理論卷十二、俱舍論卷四、卷五、成唯識論卷一、俱舍論光記卷四、卷五〕(參閱「心不相應行」1396)" - ↑ 가 나 운허, "衆同分(중동분)". 2013년 1월 29일에 확인
"衆同分(중동분): 중생들이 똑 같이 비슷한 과보를 얻게 되는 인(因)을 말함. 구사종에서는 이것을 하나의 작용있는 실법(實法)이라 인정하여, 이것이 있으므로 동등유사(同等類似)하게 된다 함. ⇒동분(同分)" - ↑ 미륵 조, 현장 한역 & T.1579, 제3권. p. T30n1579_p0587b10 - T30n1579_p0587b24. 중동분(衆同分)
"復次云何眾同分。謂若略說。於彼彼處受生有情。同界同趣同生同類位性形等。由彼彼分互相似性。是名眾同分。亦名有情同分。此中或有有情由界同分說名同分。謂同生一界。或有有情由趣同分說名同分。謂同生一趣。或有有情由生同分說名同分。謂同生一生。或有有情由類同分說名同分。謂同一種類。或有有情由分位體性容色形貌音聲覆蔽養命同分說名同分。或有有情由過失功德同分說名同分。如殺生者望殺生者。廣說乃至諸邪見者望邪見者。離殺生者望離殺生者。乃至正見者望正見者。從預流者乃至阿羅漢獨覺望預流等。菩薩望菩薩。如來望如來。如是更互說名同分。" - ↑ 무착 조, 현장 한역 & T.1602, 제1권. p. T31n1602_p0484b12. 중동분(衆同分)
"眾同分者。謂諸有情互相似性。" - ↑ 무착 지음, 현장 한역 & K.571, T.1602, 제1권. p. 37 / 293. 중동분(衆同分)
"중동분(衆同分)184)은 온갖 유정들이 서로 비슷한 성품을 말한다.
184) 중동분(衆同分, nikāya-sabhāga)은 중(衆)은 중다(衆多)이고, 동(同)은 상사(相似)이며, 분(分)은 원인의 뜻이며 동분(同分)이라고도 한다. 2종 이상의 사물로 하여금 서로 유사하게 하는 보편적인 세력을 말한다. 예를 들면 인류가 동서고금(東西古今)을 통하여 비슷한 모습을 지니는 것은 이 중동분이 있기 때문이다." - ↑ 무착 조, 현장 한역 & T.1605, 제1권. p. T31n1605_p0665c11 - T31n1605_p0665c12. 중동분(衆同分)
"何等眾同分。謂如是如是有情。於種種類自體相似。假立眾同分。" - ↑ 무착 지음, 현장 한역, 이한정 번역 & K.572, T.1605, 제1권. p. 18 / 159. 중동분(衆同分)
"어떠한 것이 중동분 불상응행법입니까? 이러이러한 모든 유정들이 종류에 따라 그 자체가 서로 비슷한 것을 임시로 세워서 중동분이라 한다." - ↑ 운허, "同分(동분)". 2013년 1월 29일에 확인
"同分(동분): (1) 심불상응법(心不相應法)의 하나. 많은 물건 가운데서 공동한 부분이란 뜻. 모든 법으로 하여금 서로 비슷하고, 서로 같게 하는 물질도 아니고, 정신도 아닌 법을 말한다. 이를테면 사람은 사람끼리, 원숭이는 원숭이끼리 저절로 비슷하고 서로 같은 것은 모두 이 동분에 의한 것. 이것을 중생동분과 법동분의 2종으로 나눈다. (2) ↔피동분(彼同分). 근(根)ㆍ경(境)ㆍ식(識), 곧 5관과 대상 경계와 인식 작용의 셋이 서로 교섭되어 자기의 업(業)을 이루는 것을 동분이라 한다. 이를테면, 안근(眼根)은 색채나 형태 등의 대상을 취하는 것을 자업(自業)이라 하고, 시각(視覺)은 색채ㆍ형태 등을 인식하는 것을 자업이라 하고, 색채나 형태 등은 눈 및 시각을 위하여 대상 경계가 되는 것을 자업이라 한다. 이와 같이 근ㆍ경ㆍ식의 셋이 상대하여서는 동시에 다같이 자기의 작용을 가지므로 동분이라 한다. 분(分)은 자기의 작용이란 뜻. ⇒피동분(彼同分)ㆍ중동분(衆同分)"