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인선왕후

조선 효종의 왕비

인선왕후 장씨(仁宣王后 張氏, 1619년 1월 30일(음력 1618년 12월 25일) ~ 1674년 3월 20일(음력 2월 24일))는 조선왕후로, 효종의 왕후이자 현종의 모후이다.

인선왕후
仁宣王后
조선의 세자빈
재위 1645년 9월 27일 ~ 1649년 5월 13일 (음력)
전임 세자빈 강씨 (민회빈 강씨)
후임 세자빈 김씨 (명성왕후)
조선 효종의 왕비
재위 1649년 5월 13일 ~ 1659년 5월 9일 (음력)
전임 장렬왕후 조씨
후임 명성왕후 김씨
조선의 왕대비
재위 1659년 5월 9일 ~ 1674년 2월 24일 (음력)
전임 자의왕대비 조씨 (장렬왕후)
후임 현열왕대비 김씨 (명성왕후)
이름
별호 인선성모(仁宣聖母) · 인선대비(仁宣大妃)
시호 인선(仁宣)
존호 효숙왕대비(孝肅王大妃)
휘호 경렬명헌(敬烈明獻)
전호 경사전(敬思殿)
작호 풍안부부인(豊安府夫人)
신상정보
출생일 1619년 1월 30일(1619-01-30) (양력)
출생지 조선 경기도 안산
사망일 1674년 3월 20일(1674-03-20)(55세) (양력)
사망지 조선 경희궁 회상전
가문 덕수 장씨
부친 신풍부원군 장유
모친 영가부부인 김이순
배우자 효종
자녀 1남 6녀 (3남 7녀)
현종 · 숙신공주 · 숙안공주 · 숙명공주
숙휘공주 · 숙정공주 · 숙경공주
능묘 영릉(寧陵)
경기도 여주시 세종대왕면 영릉로 269-50

생애

편집

탄생과 가계

편집

1618년(광해군 10년) 12월 25일, 경기도 안산(현 시흥시)에서 아버지 신풍부원군 장유(張維)와 어머니 영가부부인 김이순(金二順)의 둘째 딸로 태어났다.[1]

본관은 덕수이며, 시조는 고려 충렬왕제국대장공주를 따라 원나라에서 귀화한 위구르인 장순룡이다. 어머니 영가부부인은 김상용의 딸이며 척화파 김상헌의 조카이다. 김상용은 병자호란 당시 강화도가 함락될 위기에 놓이자 화약에 불을 붙여 순절하였다.[2]

 
김상용 (1561-1637)
인선왕후의 외할아버지이며, 성종의 11남인 왕자 경명군의 외증손자이다. 광해군의 왕비인 폐비 유씨와는 이종 사촌이기도 하다. 병자호란 당시 강화도에서 화약에 불을 붙여 자결하였다.
 
신풍부원군 장유 (1587-1638)
인선왕후의 아버지이다. 병자호란 당시 최명길 등과 함께 강화를 주장했으며, 호란 이후 청나라에 끌려갔던 며느리 한씨를 아들과 이혼시켜달라고 인조에게 주청함으로써 조정내에 사대부가의 속환녀 논쟁을 불러일으켰다.

남편 효종과는 성종을 공통 조상으로 한다.

     ┌─→ 중종    덕흥대원군    선조 원종 인조 효종
   성종   
     └─→    경명군    이연환    김극효       김상용       영가부부인       인선왕후   

군부인 시절

편집

1631년(인조 9년) 9월 13일, 인조의 둘째 아들인 봉림대군(효종)과 가례를 올리고 풍안부부인(豊安府夫人)에 봉해졌다.[3]

병자호란이 발생하자, 강화도로 피난하였는데 이듬해 강화도가 함락되면서 강화 조약의 조건으로 남편인 봉림대군을 따라 청나라 심양에서 9년간 인질 생활을 하였다.[4]

1645년(인조 23년) 소현세자가 급서하자 인조의 명에 의해 봉림대군이 세자로 책봉되면서 장씨 또한 세자빈에 책봉되었다.[5]

왕비 · 왕대비 시절

편집

1649년 인조가 승하하고 효종이 즉위하자 왕비로 책봉되었다.

1659년 효종이 승하하고 아들 현종이 즉위하자 왕대비가 되었고, 1661년(현종 2년), 효숙왕대비(孝肅王大妃)의 존호를 받았다.

현종과 인선왕후는 여러 해에 걸쳐 자주 온천에 행차하였는데, 1669년(현종 10년) 3월에는 약 한달 동안 온양온천에 머물렀다. 이때 현종과 명성왕후를 비롯하여 네 공주(숙안, 숙명, 숙휘, 숙경공주)도 함께 행차하였다.[6]

인선왕후는 딸들과 한글로 편지를 주고받았는데, 숙명공주숙휘공주에게 보낸 한글편지의 일부가 신한첩에 수록되어있다.

최후

편집

시호 및 능묘

편집
 
효종과 인선왕후가 묻힌 영릉

1674년(현종 15년) 2월 24일 새벽, 경덕궁 회상전에서 사망하였다.[7] 인선왕후의 사망일을 현종실록은 2월 23일로, 현종개수실록과 승정원일기는 2월 24일로 기록하고 있다.[8]

시호는 인선(仁宣)이며, 사랑을 베풀고 의리에 승복하는 것을 일러 인(仁), 성스럽고 착함이 널리 알려진 것을 일러 선(宣)이라 하였다. 존호와 휘호를 합친 정식 시호는 효숙정범경렬명헌인선왕후(孝肅貞範敬烈明獻仁宣王后)이다.

능은 경기도 여주영릉(寧陵)으로 남편인 효종과 함께 동원상하릉(同原上下陵)릉의 방식으로 묻혀있다.

인선왕후는 딸들과 한글로 편지를 주고받았는데, 숙명공주숙휘공주에게 보낸 한글편지의 일부가 신한첩에 수록되어있다.

예송논쟁

편집

인선왕후가 승하하자, 인조의 계비인 자의대비(장렬왕후)가 며느리의 상중에 얼마동안 상복을 입어야 하는가를 두고 서인과 남인간에 논쟁이 일어났다. 서인은 기년복(1년복)으로 정했다가 대공복(9개월 복)으로 수정하였는데, 남인이 대공복의 부당성을 지적하면서 기년복(1년복)을 주장하였다. 현종은 서인의 주장을 물리치고 남인의 기년복을 채택하여 경신환국때까지 남인이 정국을 주도하게 되었다.

가족 관계

편집
   조선의 왕비       인선왕후 장씨   
仁宣王后 張氏
출생 사망
1619년 1월 30일 (1618년 음력 12월 25일)
조선  조선 경기도 시흥
1674년 3월 20일 (음력 2월 24일) (55세)
조선  조선 한성부 경덕궁 회상전

부모

편집
본관 생몰년 부모 비고
  부   신풍부원군 新豊府院君
장유 張維
덕수 1587년 - 1638년 장운익 張雲翼
밀양 박씨 密陽 朴氏
영가부부인 永嘉府夫人
김이순 金二順
안동 1587년 - 1654년 김상용 金尙容
안동 권씨 安東 權氏
경명군의 외고손녀

부군

편집
   조선 제17대 국왕       효종 孝宗    출생 사망
1619년 6월 23일 (음력 5월 22일)
조선  조선 한성부 경행방 본궁
1659년 6월 13일 (음력 5월 4일) (39세)
조선  조선 한성부 창덕궁 대조전

자녀

편집
작호 이름 생몰년 배우자 비고
장녀 숙신공주 淑愼公主 1634년 - 1645년 미혼
차녀 숙안공주 淑安公主 1636년 - 1697년 익평위 益平尉 홍득기 洪得箕
- 대군[9]   ?[주 1] - 1642년
3녀 숙명공주 淑明公主 1640년 - 1699년 청평위 靑平尉 심익현 沈益顯
장남 현종대왕 顯宗大王 연 棩 1641년 - 1674년 명성왕후 김씨 明聖王后 金氏    제18대 국왕   
4녀 숙휘공주 淑徽公主 1642년 - 1696년 인평위 寅平尉 정제현 鄭齊賢
- 공주[10]    ?[주 2] - 1644년
-  대군[11]  1645년 - 1645년
5녀 숙정공주 淑靜公主 1646년 - 1668년 동평위 東平尉 정재륜 鄭載崙
6녀 숙경공주 淑敬公主 1648년 - 1671년 흥평위 興平尉 원몽린 元夢鱗

손자녀

편집
  • 기울임꼴 : 양자
숙안공주 숙명공주 현종대왕
홍치상 洪致祥[12] 심정보 沈廷輔
심정협 沈廷協
숙종대왕 肅宗大王 명선공주 明善公主
명혜공주 明惠公主
명안공주 明安公主
숙휘공주 숙정공주 숙경공주
정인상 鄭獜祥
정태일 鄭台一
정씨 鄭氏 정효선 鄭孝先 정씨 鄭氏 원명구 元命龜 원숙희 元淑喜

인선왕후가 등장하는 작품

편집

드라마

편집

같이 보기

편집

각주

편집
  1. 인선왕후 지문
  2. 인조실록 34권, 인조 15년(1637년 명 숭정(崇禎) 10년) 1월 22일 (임술)
    전 의정부 우의정 김상용(金尙容)이 죽었다.

    난리 초기에 김상용이 상의 분부에 따라 먼저 강화도에 들어갔다가 적의 형세가 이미 급박해지자 분사(分司)에 들어가 자결하려고 하였다.

    이에 성의 남문루(南門樓)에 올라가 앞에 화약을 장치한 뒤 좌우를 물러가게 하고 불 속에 뛰어들어 타죽었는데, 그의 손자 한 명과 노복 한 명이 따라 죽었다.

  3. 승정원일기》 33책 (탈초본 2책) 인조 9년(1631년 명 숭정(崇禎) 4년) 9월 13일 (갑신)
    봉림대군(鳳林大君)의 길례(吉禮)를 이현궁(梨峴宮)에서 거행하였다.
  4. 인조실록》 34권, 인조 15년(1637년 명 숭정(崇禎) 10년) 2월 8일 (무인)
    구왕이 철군하면서 왕세자와 빈궁, 봉림대군과 부인을 데려가자 전송하다
  5. 인조실록》 46권, 인조 23년(1645년 청 순치(順治) 2년) 9월 27일 (을해)
    봉림대군을 왕세자로, 부인 장씨를 세자빈으로 책봉하다
  6. 현종실록》 16권, 현종 10년(1669년 청 강희(康熙) 8년) 3월 15일 (무신)
    왕대비·중궁·공주들과 함께 온양으로 행차하다
    상이 왕대비를 받들고 온양 온천으로 행차하는데, 중궁이 따르고 네 공주가 배행하였다.
  7. 현종개수실록》 27권, 현종 15년(1674년 청 강희(康熙) 13년) 2월 24일 (무오)
    축시에 왕대비 장씨가 승하하다
    축시(새벽 1~3시)에 왕대비 장씨가 경덕궁(慶德宮=경희궁) 회상전(會祥殿)에서 승하하였다.
  8. 승정원일기》 238책 (탈초본 12책) 현종 15년(1674년 청 강희(康熙) 13년) 2월 24일 (임오)
    四更五點, 王大妃昇遐。
    사경오점(새벽 1~3시)에 왕대비가 승하하였다.
  9. 승정원일기》 81책(탈초본 4책) 인조 20년(1642년 명 숭정(崇禎) 15년) 4월 19일 (무오)
    약방 도제조 이성구(李聖求), 부제조 서경우가 아뢰기를,

    “삼가 들으니 봉림대군방(鳳林大君房)의 왕손(王孫)은 끝내 목숨을 구하지 못했다고 합니다. 성상께서 기후를 조섭하시는 중인데 이런 놀랍고 슬픈 일을 당하시니, 필시 더 상할 염려가 있습니다. 신들이 지극히 구구한 염려를 이기지 못하여 감히 와서 문안드립니다.”

    하니, 전과 같다고 답하였다.

  10. 《심관록(瀋館錄) 권7, 신유(申濡) 지음
    갑신년(1644년) 3월 13일, 양궁(兩宮)이 의주(義州)에 머물렀다.

    봉림대군(鳳林大君)의 태어난지 수개월 된 딸이 심양에서 나와 의주로 향하던 길에 의주성 밖에서 졸서하였다.

  11. 인조실록》 46권, 인조 23년(1645년 청 순치(順治) 2년) 9월 9일 (정사)
    세자빈 장씨가 사저에서 분만하다
  12. 1689년(숙종 15년) 기사환국 때 처형됨

주해

편집
  1. 1637년 혹은 1638년 출생
  2. 1643년 혹은 1644년 출생


전임
장렬왕후
조선 역대 왕후
1649년 ~ 1659년
후임
명성왕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