벚나무아속
(벚나무절에서 넘어옴)
벚나무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한 종에 대해서는 벚나무 (종)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벚나무아속(-亞屬)은 벚나무속의 아속이다. 꽃은 벚꽃이며, 열매는 버찌이다. 북반구에 널리 분포되어 있다. 유럽에서 서시베리아에 걸쳐서 3종, 동아시아에 236종의 벚나무아속 식물이 분포되어 있다고 보고 되고 있다. 관상용으로 재배되는 대부분의 종은 열매가 없다.
벚나무아속 | ||
---|---|---|
야산벚나무(P. serrulata) | ||
생물 분류ℹ️ | ||
계: | 식물계 | |
(미분류): | 속씨식물군 | |
(미분류): | 진정쌍떡잎식물군 | |
(미분류): | 장미군 | |
목: | 장미목 | |
과: | 장미과 | |
속: | 벚나무속 | |
아속: | 벚나무아속 | |
학명 | ||
Prunus subg. Cerasus | ||
(Mill.) Focke ex Engl. & Prantl | ||
종 | ||
|
하위 분류
편집귀룽나무절(sect. Laurocerasus)
- 귀룽나무 P. padus L.
- 버지니아귀룽나무 P. virginiana L.
- P. virginiana var. demissa (Nutt.) Torr.
- 섬개벚나무 P. buergeriana Miq.
- 세로티나벚나무 P. serotina Ehrh.
- P. serotina var. alabamensis (C. Mohr) Little
- P. serotina var. salicifolia (Kunth) Koehne
- P. serotina var. virens (Wooton & Standl.) McVaugh
- 월계귀룽나무 P. laurocerasus L.
- 일본귀룽나무 P. grayana Maxim.
- 캐롤라이나귀룽나무 P. caroliniana (Mill.) Aiton
- 포르투갈월계귀룽나무 P. lusitanica L.
- 아조레스월계귀룽나무 P. lusitanica subsp. azorica (Mouill.) Franco
- P. lusitanica subsp. hixa (Brouss. ex Willd.) Franco
- P. africana (Hook. f.) Kalkman
- P. brachypoda Batalin
- P. bracteopadus Koehne
- P. ceylanica (Wight) Miq.
- P. cornuta (Wall. ex Royle) Steud.
- P. grisea (Blume ex Müll. Berol.) Kalkman
- P. guanaiensis Rusby
- P. ilicifolia (Nutt. ex Hook. & Arn.) D. Dietr.
- P. ilicifolia var. occidentalis Brandegee
- P. incana (Pall.) Batsch
- P. jenkinsii Hook. f. & Thomson
- P. myrtifolia (L.) Urb.
- P. napaulensis (Ser.) Steud.
- P. obtusata Koehne
- P. phaeosticta (Hance) Maxim.
- P. pygeoides Koehne
- P. spinulosa Siebold & Zucc.
- P. ssiori F. Schmidt
- P. turneriana (F. M. Bailey) Kalkman
- P. undulata Buch.-Ham. ex D. Don
- P. wilsonii (Diels ex C. K. Schneid.) Koehne
- P. zippeliana Miq.
벚나무절(sect. Cerasus)
- 개벚나무 P. leveilleana Koehne
- 개벚지나무 P. maackii Rupr.
- 대만벚나무 P. campanulata Maxim.
- 루치아벚나무 P. mahaleb L.
- 벚나무 P. jamasakura Siebold ex Koidz.
- 북개벚지나무 P. meyeri Rehder
- 산개벚지나무 P. maximowiczii Rupr.
- 산벚나무 P. sargentii Rehder
- 석도벚나무 P. koraiensis Nakai ex T. Kawamoto
- 섬벚나무 P. takesimensis Nakai
- 슈미트벚나무 P. × schmittii Rehder
- 신양벚나무 P. cerasus L.
- P. cerasus var. marasca (Host) Vis.
- P. cerasus var. semperflorens (Ehrh.) W. D. J. Koch
- 야산벚나무 P. serrulata Lindl.
- 사옥 P. serrulata var. quelpaertensis Uyeki
- 양벚나무 P. avium (L.) L.
- 오시마벚나무 P. lannesiana (Carrière) E. H. Wilson
- 올벚나무 Prunus itosakura Siebold
- 왕벚나무 P. × yedoensis Matsum.
- 제주벚나무 P. × nudiflora (Koehne) Koidz.
- 춘추벚나무 P. × subhirtella Miq.
- P. × subhirtella var. koshiensis (Koidz.) Ohwi
- 티베트벚나무 P. serrula Franch.
- 후지벚나무 P. incisa Thunb.
- P. incisa var. bukosanensis (Honda) Hara
- P. incisa var. kinkiensis (Koidz.) Ohwi
- P. incisa var. ontakenbia Koidz. & H. Kubota
- P. incisa var. tomentosa Koidz.
- 히말라야벚나무 P. rufa Hook. f.
- P. nipponica Matsum.
- 쿠릴일본고산벚나무 P. nipponica var. kurilensis (Miyabe) E. H. Wilson
- P. alaica (Pojark.) Gilli
- P. apetala (Siebold & Zucc.) Franch. & Sav.
- P. apetala var. pilosa (Koidz.) E. H. Wilson
- P. canescens Bois
- P. cerasoides D. Don
- P. clarofolia C. K. Schneid.
- P. concinna Koehne
- P. conradinae Koehne
- P. cyclamina Koehne
- P. × dawyckensis Sealy
- P. dielsiana C. K. Schneid.
- P. dielsiana var. abbreviata Cardot
- P. emarginata (Douglas) Eaton
- P. × eminens Beck
- P. × fontanesiana (Spach) C. K. Schneid.
- P. fruticosa Pall.
- P. × furuseana Ohwi
- P. glandulifolia Rupr. & Maxim.
- P. × gondouinii (Poit. & Turpin) Rehder
- P. himalaica Kitam.
- P. × incam Ingram ex R. T. Olsen & Whittem.
- P. itosakura Siebold
- P. × juddii E. S. Anderson
- P. pensylvanica L. f.
- P. pleiocerasus Koehne
- P. pojarkovii A. E. Murray
- P. pseudocerasus Lindl.
- P. setulosa Batalin
- P. × sieboldii (Carrière) Wittm.
- P. speciosa (Koidz.) Nakai
- P. stipulacea Maxim.
- P. takasagomontana Sasaki
- P. tatsienensis Batalin
- P. trichostoma Koehne
- P. × tschonoskii Koehne
- P. × yedoensis Matsum.
문화
편집한국에는 주로 껍질을 이용해 활을 만들거나 장식용으로 목재등이 만들어졌다.
바로 불타는 벚나무 껍질이었습니다. 버드나무가 그 열기(熱氣)에 부딪혀 죽었다고 합니다. 함흥에서부터 갑산(甲山)의 경계에 이르기까지 산 위의 초목이 다 타 버렸습니다. 사람들이 하늘 불[天火]이라고 하였습니다.”乃火燒樺皮也, 柳樹觸熱死。 自咸興至甲山之境, 山上草木盡燒, 人以爲天火。”
— 조선왕조 실록 세종 40권, 10년(1428 무신 / 명 선덕(善德) 3년) 6월 9일(경인) 1번째기사
“공조에 바치는 반화피(斑樺皮), 사재감(司宰監)에 바치는 건어(乾魚)·건저(乾猪)·건장(乾獐)·녹포(鹿脯), 제용감(濟用監)에 바치는 모피(毛皮), 의영고(義盈庫)에 바치는 개암[榛子]·마른 버섯[乾菌], 도염서(都染署)에 바치는 지초(芷草), 제생원(濟生院)에 바치는 약재(藥材) 등은 없애는 것이 좋겠습니다.” 하니, 그대로 따랐다. (반화피가 벚나무 껍질로 활을 만드는데 사용됨)
— 세종 30권, 7년(1425 을사 / 명 홍희(洪熙) 1년) 10월 9일(갑술) 5번째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