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지
동지(冬至)는 24절기 중 스물두 번째 절기로서, 태양 황경이 270도가 되는 때이다. 대개 팥죽을 먹는다. 양력에서는 12월 22일 또는 23일이며, 음력에서는 동지가 드는 달을 11월(동짓달)로 한다. 대설(大雪)과 소한(小寒) 사이에 들며, 태양이 남회귀선, 곧 적도 이남 23.5°인 동지선(冬至線)에 이르는 때이다. 이때 태양은 가장 남쪽에 위치하는데, 대한민국, 독일 등과 같은 북반구에서는 낮의 길이가 가장 짧고 밤이 가장 길며, 남반구에서는 낮의 길이가 가장 길고 밤이 가장 짧다. 추위는 대략 이 무렵부터 강력해지기 시작한다.
동지 | |
---|---|
공식이름 | 동지(冬至) |
다른이름 | 작은설 |
형태 | 한국 등 세계 각국의 전통 명절 |
날짜 | 매년 12월 22일경 |
행사 | 팥죽 먹기, 귀신 쫓기 |
동지는 겨울의 중간 지점이자 1년 중 가장 추운 날로 여겨지지만, 이는 사실이 아니다. 먼저, 이때는 지구 북반구에서는 겨울이지만, 남반구에서는 여름이므로, 지구 전체적으로 동일한 의미로 사용하려면, 12월 지점이라고 표현하는 것이 맞다.[1] 동지는 북반구에서 1년 중 태양의 고도, 즉 남중고도가 가장 낮은 날일 뿐[2], 1년 중 기온(온도)이 가장 낮은 날이 아니다. 대한민국에서 24절기 중 기온(온도)이 가장 낮은 날은 소한이다.[3]
똥지똥죽
일출과 일몰
편집지역에 따른 2013년 동지의 일출과 일몰 시각은 다음과 같다.[4]
지역 | 위도와 경도 | 일출 | 일몰 | 낮의 길이 |
---|---|---|---|---|
서울 | 북위 37° 33′ 동경 126° 58′ / 북위 37.550° 동경 126.967° | 07시 43분 30초 | 17시 17분 25초 | 9시간 33분 55초 |
평양 | 북위 39° 02′ 동경 125° 45′ / 북위 39.033° 동경 125.750° | 07시 52분 40초 | 17시 18분 01초 | 9시간 25분 20초 |
기후
편집동지 때 지구의 북반구는 완연한 겨울이 된다. 이는 태양의 고도가 낮아짐에 따라 태양의 복사 에너지가 작아지기 때문이다. 북위 37도인 지역(서울, 강릉 등)에서 하지의 태양 복사 에너지를 100%라 한다면 동지에는 49% 정도이다.
관련 풍습
편집황경 | 절기 | 양력 |
---|---|---|
봄 | ||
315° | 입춘 | 2/4~5 |
330° | 우수 | 2/18~19 |
345° | 경칩 | 3/5~6 |
0° | 춘분 | 3/20~21 |
15° | 청명 | 4/4~5 |
30° | 곡우 | 4/20~21 |
여름 | ||
45° | 입하 | 5/5~6 |
60° | 소만 | 5/21~22 |
75° | 망종 | 6/5~6 |
90° | 하지 | 6/21~22 |
105° | 소서 | 7/7~8 |
120° | 대서 | 7/22~23 |
가을 | ||
135° | 입추 | 8/7~8 |
150° | 처서 | 8/22~24 |
165° | 백로 | 9/7~8 |
180° | 추분 | 9/22~23 |
195° | 한로 | 10/8~9 |
210° | 상강 | 10/23~24 |
겨울 | ||
225° | 입동 | 11/7~8 |
240° | 소설 | 11/22~23 |
255° | 대설 | 12/7~8 |
270° | 동지 | 12/21~22 |
285° | 소한 | 1/5~6 |
300° | 대한 | 1/20~21 |
동지(冬至)를 기점으로 하여 점차 낮의 길이가 길어지므로 많은 곳에서 축제일, 또는 1년의 시작일로 삼았다.
한국의 풍습
편집동지는 반드시 음력 11월에 들어서 음력 11월을 동짓달이라 불렀다. 또한 동지를 작은설로 부르며 크게 축하했다. 민간에서는 동지에, 설날 떡국을 먹으면 나이를 한 살 더 먹는 것처럼, 동짓날 팥죽을 먹으면 한 살 더 먹는다고 한다. 이것은 옛날에 동지 (옛날 서당은 이 날에 입학하였다.)를 정월(正月)로 삼은 풍속에 따른 것이었다. 한국에서는 다음과 같은 풍습이 전해진다.
- 동지 팥죽 - 동지 때 쑤어 먹는 팥죽. 새알심을 넣어 쑨다. 옛날에는 동지를 큰 명절로 지냈으나 요즘은 제사를 모시지 않고 붉은팥죽을 쑤어 나누어 먹는다. 붉은팥죽은 옛날부터 액운을 막는 절기 음식으로서, 지방에 따라서는 초상 때나 이사를 하였을 때에 액운을 막기 위해 팥죽을 쑤어 집 안팎에 뿌리고, 이웃끼리 나누어 먹는 풍습이 있다.
- 동지가 동짓달(음력 11월) 초승에 드는 “애동지[5]”에는 어린이에게 좋지 않은 일이 생긴다고 하여 팥죽을 쑤어 먹지 않고 대신 팥 시루떡을 해 먹었다.
- 팥죽을 쑤어 조상에 제사를 지내기도 한다.
- 동짓날 날씨로 새해의 농사를 점친다.
- 달력을 선물로 보낸다.
- 서당의 입학 날짜는 대개 동짓날이었다. 이는 동지 이후로 낮의 기운이 점점 커지므로 아이들이 학문을 깨우쳐 밝게 커 가기를 바라는 마음에서 서당의 입학식을 동지에 한 것이다.
종류
편집애동지
편집애동지는 음력 11월 10일까지 드는 동지로 아기동지, 오동지라고도 부른다. 윤달이 들어 있는 2006년과 2009년, 2012년, 2014년, 2017년, 2020년, 2023년 등이 애동지다. 애동지에는 팥죽 대신 팥시루떡, 시루팥떡을 해 먹는다.
중동지
편집중동지는 음력 동짓달 중순(음력 11월 11일 ~ 11월 20일) 사이에 드는 동지이다.
노동지
편집노동지는 음력 11월 21일 이후로 드는 동지를 뜻한다.[6]
실제 날짜
편집- 1945년 12월 22일 (음력 11월 18일) : 중동지
- 1946년 12월 22일 (음력 11월 29일) : 노동지 (말일)
- 1947년 12월 23일 (음력 11월 12일) : 중동지
- 1948년 12월 22일 (음력 11월 22일) : 노동지
- 1949년 12월 22일 (음력 11월 3일) : 애동지
- 1950년 12월 22일 (음력 11월 14일) : 중동지
- 1951년 12월 23일 (음력 11월 25일) : 노동지
- 1952년 12월 22일 (음력 11월 6일) : 애동지
- 1953년 12월 22일 (음력 11월 17일) : 중동지
- 1954년 12월 22일 (음력 11월 28일) : 노동지
- 1955년 12월 23일 (음력 11월 10일) : 애동지
- 1956년 12월 22일 (음력 11월 21일) : 노동지
- 1957년 12월 22일 (음력 11월 2일) : 애동지
- 1958년 12월 22일 (음력 11월 12일) : 중동지
- 1959년 12월 23일 (음력 11월 24일) : 노동지
- 1960년 12월 22일 (음력 11월 5일) : 애동지
- 1961년 12월 22일 (음력 11월 15일) : 중동지
- 1962년 12월 22일 (음력 11월 26일) : 노동지
- 1963년 12월 23일 (음력 11월 8일) : 애동지
- 1964년 12월 22일 (음력 11월 19일) : 중동지
- 1965년 12월 22일 (음력 11월 30일) : 노동지 (말일)
- 1966년 12월 22일 (음력 11월 11일) : 중동지
- 1967년 12월 23일 (음력 11월 22일) : 노동지
- 1968년 12월 22일 (음력 11월 3일) : 애동지
- 1969년 12월 22일 (음력 11월 14일) : 중동지
- 1970년 12월 22일 (음력 11월 24일) : 노동지
- 1971년 12월 23일 (음력 11월 6일) : 애동지
- 1972년 12월 22일 (음력 11월 17일) : 중동지
- 1973년 12월 22일 (음력 11월 28일) : 노동지
- 1974년 12월 22일 (음력 11월 9일) : 애동지
- 1975년 12월 23일 (음력 11월 21일) : 중동지
- 1976년 12월 22일 (음력 11월 2일) : 애동지
- 1977년 12월 22일 (음력 11월 12일) : 중동지
- 1978년 12월 22일 (음력 11월 23일) : 노동지
- 1979년 12월 23일 (음력 11월 5일) : 애동지
- 1980년 12월 22일 (음력 11월 16일) : 중동지
- 1981년 12월 22일 (음력 11월 27일) : 노동지
- 1982년 12월 22일 (음력 11월 8일) : 애동지
- 1983년 12월 22일 (음력 11월 19일) : 중동지
- 1984년 12월 22일 (음력 11월 1일) : 애동지 (삭단동지)
- 1985년 12월 22일 (음력 11월 11일) : 중동지
- 1986년 12월 22일 (음력 11월 21일) : 노동지
- 1987년 12월 22일 (음력 11월 2일) : 애동지
- 1988년 12월 22일 (음력 11월 14일) : 중동지
- 1989년 12월 22일 (음력 11월 25일) : 노동지
- 1990년 12월 22일 (음력 11월 6일) : 애동지
- 1991년 12월 22일 (음력 11월 17일) : 중동지
- 1992년 12월 21일 (음력 11월 28일) : 노동지
- 1993년 12월 22일 (음력 11월 10일) : 애동지
- 1994년 12월 22일 (음력 11월 20일) : 중동지
- 1995년 12월 22일 (음력 11월 1일) : 애동지 (삭단동지)
- 1996년 12월 21일 (음력 11월 11일) : 중동지
- 1997년 12월 22일 (음력 11월 23일) : 노동지
- 1998년 12월 22일 (음력 11월 4일) : 애동지
- 1999년 12월 22일 (음력 11월 15일) : 중동지
- 2000년 12월 21일 (음력 11월 26일) : 노동지
- 2001년 12월 22일 (음력 11월 8일) : 애동지
- 2002년 12월 22일 (음력 11월 19일) : 중동지
- 2003년 12월 22일 (음력 11월 29일) : 노동지 (말일)
- 2004년 12월 21일 (음력 11월 10일) : 애동지
- 2005년 12월 22일 (음력 11월 21일) : 노동지
- 2006년 12월 22일 (음력 11월 3일) : 애동지
- 2007년 12월 22일 (음력 11월 13일) : 중동지
- 2008년 12월 21일 (음력 11월 24일) : 노동지
- 2009년 12월 22일 (음력 11월 7일) : 애동지
- 2010년 12월 22일 (음력 11월 17일) : 중동지
- 2011년 12월 22일 (음력 11월 28일) : 노동지
- 2012년 12월 21일 (음력 11월 9일) : 애동지
- 2013년 12월 22일 (음력 11월 20일) : 중동지
- 2014년 12월 22일 (음력 11월 1일) : 애동지 (삭단동지)
- 2015년 12월 22일 (음력 11월 12일) : 중동지
- 2016년 12월 21일 (음력 11월 23일) : 노동지
- 2017년 12월 22일 (음력 11월 5일) : 애동지
- 2018년 12월 22일 (음력 11월 16일) : 중동지
- 2019년 12월 22일 (음력 11월 26일) : 노동지
- 2020년 12월 21일 (음력 11월 7일) : 애동지
- 2021년 12월 22일 (음력 11월 19일) : 중동지
- 2022년 12월 22일 (음력 11월 29일) : 노동지 (말일)
- 2023년 12월 22일 (음력 11월 10일) : 애동지
- 2024년 12월 21일 (음력 11월 21일) : 노동지
- 2025년 12월 22일 (음력 11월 3일) : 애동지
- 2026년 12월 22일 (음력 11월 14일) : 중동지
- 2027년 12월 22일 (음력 11월 25일) : 노동지
- 2028년 12월 21일 (음력 11월 6일) : 애동지
- 2029년 12월 22일 (음력 11월 18일) : 중동지
- 2030년 12월 22일 (음력 11월 28일) : 노동지
- 2031년 12월 22일 (음력 11월 9일) : 애동지
- 2032년 12월 21일 (음력 11월 19일) : 중동지
- 2033년 12월 22일 (음력 12월 1일) : 노동지 (말일)
- 2034년 12월 22일 (음력 11월 12일) : 중동지
- 2035년 12월 22일 (음력 11월 23일) : 노동지
- 2036년 12월 21일 (음력 11월 4일) : 애동지
- 2037년 12월 22일 (음력 11월 16일) : 중동지
- 2038년 12월 22일 (음력 11월 27일) : 노동지
- 2039년 12월 22일 (음력 11월 7일) : 애동지
- 2040년 12월 21일 (음력 11월 18일) : 중동지
- 2041년 12월 22일 (음력 11월 29일) : 노동지
- 2042년 12월 22일 (음력 11월 11일) : 중동지
- 2043년 12월 22일 (음력 11월 22일) : 노동지
- 2044년 12월 21일 (음력 11월 3일) : 애동지
- 2045년 12월 22일 (음력 11월 15일) : 중동지
- 2046년 12월 22일 (음력 11월 25일) : 노동지
- 2047년 12월 22일 (음력 11월 6일) : 애동지
- 2048년 12월 21일 (음력 11월 16일) : 중동지
- 2049년 12월 22일 (음력 11월 28일) : 노동지
- 2050년 12월 22일 (음력 11월 9일) : 애동지
- 2051년 12월 22일 (음력 11월 20일) : 중동지
- 2052년 12월 21일 (음력 11월 1일) : 애동지 (삭단동지)
- 2053년 12월 22일 (음력 11월 13일) : 중동지
기타
편집각주
편집- ↑ 동지점 (한국천문학회 천문학백과) 동지점 (한국천문학회 위키천문백과사전) 태양이 동지점을 지날 때, 지구의 북반구는 겨울이고 남반구는 여름이다. 따라서 북반구에 위치한 우리나라에서는 동지(冬至, extreme of winter)라는 표현이 적당하지만, 모든 지역에서 동일한 의미로 사용하기 위해서는 12월의 지점(December solstice)으로 표현하는 것이 옳다. 태양이 동지점에 위치하는 날을 동짓날이라고 하는데, 보통 12월 22일 또는 12월 23일경이기 때문이다.
- ↑ 태양의 고도, 즉 남중고도는 "90°-위도+적위"로 계산할 수 있다. 이 계산식을 통해 계산하면, 대한민국 서울은 북위 37.5° 이므로, 태양의 고도, 즉 남중고도는 춘분 (적위 0°) 일 때 +52.5°, 하지 (적위 +23.5°) 일 때 +76°, 추분 (적위 0°) 일 때 +52.5°, 동지 (적위 -23.5°) 일 때 +29° 로, 동지일 때 1년 중 태양의 고도, 즉 남중고도가 가장 낮다.
- ↑ 우리나라 109년 기후변화 분석보고서 (기상청. 2021년 4월 30일 발간)의 46쪽을 보면, 1991년~2020년까지 최근 30년 평균기온에서, 동지는 3.5℃, 소한 0.8℃, 대한 0.9℃, 입춘 1.0℃ 로, 소한이 24절기 중 기온(온도)이 가장 낮다.
- ↑ 일출과 일몰 시각 계산 페이지 Archived 2014년 10월 8일 - 웨이백 머신, 한국천문연구원
- ↑ 대개 윤달이 끼는 해의 동지가 애동지인 경우가 많다.
- ↑ 《한국민족문화대백과「동지」, 한국학중앙연구원
- ↑ 절기 (한국천문학회 천문학백과) 절기 (한국천문학회 위키천문백과사전) 천문학적으로는 춘분, 하지, 추분, 동지만 의미가 있고 나머지 20개에 대응하는 용어는 없다. 태양의 적위가 황경에 선형비례하지 않기 때문에 24절기에 따라 태양의 남중고도가 일정하게 증가하거나 감소하는 것은 아니다. 절기가 계절을 구분하는 절대적인 기준은 아니지만, 4계절은 입춘, 입하, 입추, 입동 등 4립의 날에서 시작된다고 여겨진다. 하지만, 절기의 이름이 중국 주나라 때 화북 지방의 날씨에 맞춰지어졌다는 것을 기억한다면 24절기를 현대 동아시아 전역에 엄격하게 적용하는 것은 타당하지 않다.
같이 보기
편집참고 문헌 및 링크
편집- 동지점 (한국천문학회 천문학백과)
- 동지점 (한국천문학회 위키천문백과사전)
- 「동지」, 《한국민족문화대백과》, 한국학중앙연구원
- 〈동지〉, 《글로벌세계대백과사전》[깨진 링크(과거 내용 찾기)]
- 한국천문연구원 천문우주지식정보 → 생활천문관 → 월별 천문현상 에서는 춘분, 하지, 추분, 동지 등 4개만 절입시각이 표기돼 있고, 나머지 20개의 절입시각은 표기돼 있지 않다. (이는 한국천문연구원에서 매년 11월쯤에 발행하는 역서, 천문력(벽걸이용, 탁상용)을 통해서도 확인할 수 있다. 그리고 역서, 천문력(벽걸이용, 탁상용)은 구매하여 이용할 수 있다. (무료 아님)) 단, 한국천문연구원 천문우주지식정보 → 생활천문관 → 달력자료(월력요항) → 달력자료 에서는 나머지 20개의 절입시각도 확인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