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주 정씨
이칭 | 진양 정씨(晉陽 鄭氏) |
---|---|
나라 | 한국 |
관향 | 경상남도 진주시 |
시조 | 정예(鄭藝), 정자우(鄭子友), 정장(鄭莊), 정헌(鄭櫶), 정중공(鄭仲恭), 정온(鄭溫), 정신(鄭侁), 정안교(鄭安校) |
집성촌 | 경상남도 진주시·남해군·하동군 전라남도 영광군·화순군·광양시 전북특별자치도 고창군 충청남도 서산시 평안북도 녕변군 |
주요 인물 | 정온, 정이오, 정척, 정분, 정경세, 정일형, 정헌주, 정원식, 정일성, 정철기, 정균환, 정대철, 정홍원, 정화원, 정상용, 정병석, 정성호 |
인구(2015년) | 324,521명 |
진주 정씨(晉州 鄭氏)는 경상남도 진주시를 본관으로 하는 한국의 성씨이다. 정예(鄭藝), 정자우(鄭子友), 정장(鄭莊), 정헌(鄭櫶) 등 시조를 달리하는 여덟 계통이 있다.
역사
[편집]신라 건국 6부족의 하나인 진지촌(珍支村)의 지백호(智伯虎)를 원시조로 한다. 지백호 이후의 계대가 밝혀진 바가 없어 이를 증명할 수 없어 진주정씨에는 뿌리가 다른 여덟 계통의 정씨가 있다. 이를 진주8정(晋州八鄭)이라고 한다. 그중 4개 파가 주류를 형성하고 있다. 정예(鄭藝), 정자우(鄭子友), 정장(鄭莊), 정헌(鄭櫶)을 시조로 하는 4계통으로 크게 구분하는 것이 통설이다.
- 시조 정예(鄭藝)는 고려 통합 삼한벽상공신 광록대부(光祿大夫)·문하시중 평장사(門下侍中 平章事)를 지냈다. 그 후의 세계가 실전되어 문익공(文翼公) 정시양(鄭時陽)을 일세조(一世祖)로 하여 계대(系代)하고 있다.
- 시조 정자우(鄭子友)는 호장(戶長)을 지냈다. 정자우의 6세손으로 고려 현종 때 진양부원군(晉陽府院君)에 봉해진 정신열(鄭臣烈)을 중조(中祖)로 하는 파(派)와 7세손 정중공(鄭仲恭)을 중조로 하는 파, 8세손인 좌우위보승중랑장(左右衛保勝中郞將) 정보경(鄭普卿)을 중조로 하는 파로 나누어진다.
- 시조 정장(鄭莊)은 고려 말엽에 통정첨지중추원사(通政僉知中樞院事)를 지냈다. 정장의 4세손 정척(鄭陟)은 조선 태종 때 판윤(判尹)을 지냈으며, 그를 중조로 하는 파도 있다.
- 시조 정헌(鄭櫶)은 고려 말에 문하시랑 평장사로 진산부원군에 봉해졌다. 둘째 아들 정택(鄭澤)은 감찰어사(監察御使)를 지냈으며 그를 중조로 하는 어사공파(御史公派)도 있다.
본관
[편집]진주(晉州)는 경상남도 서부에 위치한 지명이다. 본래 백제의 거렬성(居烈城)이다. 663년(문무왕 3) 신라에 편입되어 거타주(居陀州)가 설치되었으며, 685년(신문왕 5)에 청주(菁州)를 설치하였다가, 757년(경덕왕 16)에 강주도독부(康州都督府)로 개칭되었다가 혜공왕 때 청주(菁州)로 개칭되었다. 고려 건국 후 940년(태조 23)에 다시 강주로 환원되었고, 983년(성종 2)에 12목의 하나인 진주목으로 개편하였다. 995년(성종 14)에는 정해군(定海軍)이라 하고 절도사(節度使)를 두어 산남도(山南道)에 속하게 하였다. 1012년에 안무사(按撫使)로 고쳤다가, 1018년(현종 9)에 진주목으로 복구되었다. 1392년(태조 1) 조선 건국 후 진양대도호부(晉陽大都護府)로 승격하였다가 1402년(태종 2)에 진주목으로 환원되었다.
세종실록지리지에 경상도 진주목의 토성(土姓)으로 정(鄭)·하(河)·강(姜)·소(蘇) 4성이 기록되어 있다.[1]
1896년 경상남도 진주군으로 개편되었다. 1939년 진주읍이 시로 승격하면서 나머지 지역이 진양군으로 개칭되었으며, 1995년 진양군이 진주시에 통합되었다.
분파
[편집]진주8정(晉州八鄭)으로 불렸던 진주 정씨(晉州 鄭氏)는 동성동본이면서도 세계를 달리하는 8계통으로 계대(繼代)를 이어왔다.
정예계
- 충장공파(忠莊公派): 정분(鄭苯)
- 효자공파(孝子公派)(장흥파): 정광로(鄭光露)
- 익은공파(匿隱公派)(진주파): 정준(鄭遵)
- 문영공파(文英公派): 정지산(鄭之産)
- 지평공파(持平公派): 정순(鄭蓴)
- 대사성공파(大司成公派): 정여(鄭茹)
- 담계공파(淡溪公派): 정온(鄭蘊)
- 석성공파(石城公派): 정종오(鄭從吾)
- 목사공파((牧使公派): 정효안(鄭孝安)
- 제학공파(提學公派): 정천귀(鄭天貴)
- 화헌공파(和軒公派): 정결(鄭缺)
- 충장공파(忠莊公派): 정황(鄭璜)
- 부원군파(府院君派): 정작(鄭作)
- 내부사공파(內府事公派): 정안교(鄭安校)
- 첨정공파(僉正公派): 정중공(鄭仲恭)
정자우계
- 은열공파(殷烈公派): 정자우(鄭子友)
정헌계
- 우곡공파(愚谷公派): 정온(鄭溫)
- 어사공파(御史公派): 정택(鄭澤)
- 지후공파(祗侯公派): 정신(鄭侁)
정장계
- 공대공파(恭戴公派): 정장(鄭莊)
인물
[편집]- 정온(鄭溫) - 고려 자헌대부(資憲大夫)
- 정이오(鄭以吾) - 고려 말 조선 초 문신(예문관대제학)
- 정분(鄭苯) - 조선 단종 때 우의정
- 정척(鄭陟) - 조선시대의 문신(지중추원사)
- 정경세(鄭經世) - 조선시대의 학자
- 정기룡(鄭起龍) - 조선시대의 문신(울산부사)
- 정사제(鄭思悌) - 조선시대의 의병
- 정성근(鄭誠謹) - 조선시대의 문신(좌부승지)
- 정필달(鄭必達) - 조선시대의 문신(첨지중추부사)
집성촌
[편집]- 경상남도 진주시 사봉면 사곡리
- 경상남도 진주시 사봉면 마성리
- 경상남도 진주시 진성면 구천리
- 경상남도 남해군 서면 정포리
- 경상남도 합천군 가야면 성기리
- 전라남도 광양시 골약동 중동리
- 전라남도 장흥군 장동면 조양리
- 전라남도 화순군 북면 서유리
- 전라남도 영광군 군서면 덕산리
- 전북특별자치도 고창군 무장면 덕임리
- 충청남도 공주시 사곡면 호계리
- 강원특별자치도 홍천군 서면 길곡리
항렬자
[편집]- 충장공 효자공파
28세 | 29세 | 30세 | 31세 | 32세 | 33세 | 34세 | 35세 | 36세 | 37세 | 38세 | 39세 | 40세 |
---|---|---|---|---|---|---|---|---|---|---|---|---|
한(漢) 해(海) 제(濟) |
口식(植) 口모(模) 口채(采) |
연(然) 병(炳) 형(炯) |
口기(基) 口효(孝) 口달(達) |
종(鍾) 용(鎔) 진(鎭) |
口태(泰) 口호(浩) 口수(洙) |
상(相) 병(秉) 래(來) |
口현(炫) 口희(熹) 口혁(爀) |
재(在) 규(圭) 채(埰) |
口석(錫) 口호(鎬) 口일(鎰) |
영(永) 순(淳) 택(澤) |
口빈(彬) 口표(杓) 口근(根) |
경(炅) 영(煐) 찬(燦) |
- 충장공 익은공파
30세 | 31세 | 32세 | 33세 | 34세 | 35세 | 36세 | 37세 | 38세 | 39세 | 40세 | 41세 | 42세 | 43세 |
---|---|---|---|---|---|---|---|---|---|---|---|---|---|
口현(鉉) | 영(永) | 口식(植) | 대(大) | 口효(孝) | 종(鍾) | 口순(淳) | 동(東) | 口열(烈) | 중(重) | 口석(錫) | 태(泰) | 口상(相) | 용(容) |
- 충장공 문영공파
30세 | 31세 | 32세 | 33세 | 34세 | 35세 | 36세 | 37세 | 38세 | 39세 | 40세 | 41세 | 42세 | 43세 |
---|---|---|---|---|---|---|---|---|---|---|---|---|---|
헌(憲) | 口희(喜) | 종(鍾) | 口순(淳) | 근(根) | 口묵(黙) | 치(致) | 口선(善) | 해(海) | 口래(來) | 대(大) | 口중(中) | 경(庚) | 口구(求) |
- 은열공파
22세 | 23세 | 24세 | 25세 | 26세 | 27세 | 28세 | 29세 | 30세 | 31세 | 32세 | 33세 | 34세 | 35세 | 36세 | 37세 | 38세 | 39세 | 40세 | 41세 | 42세 | 43세 | 44세 | 45세 |
---|---|---|---|---|---|---|---|---|---|---|---|---|---|---|---|---|---|---|---|---|---|---|---|
口환(煥) | 재(載) | 口호(鎬) | 원(源) | 口식(植) | 연(然) | 口주(周) | 종(鍾) | 口영(永) | 병(秉) | 口덕(悳) | 균(均) | 口흠(欽) | 호(浩) | 口근(根) | 희(熙) | 口배(培) | 진(鎭) | 口순(淳) | 병(炳) | 口휴(烋) | 시(時) | 口용(鎔) | 제(濟) |
- 공대공파
22세 | 23세 | 24세 | 25세 | 26세 | 27세 | 28세 | 29세 | 30세 | 31세 | 32세 | 33세 | 34세 | 35세 |
---|---|---|---|---|---|---|---|---|---|---|---|---|---|
口화(和) 口영(榮) |
용(容) 형(炯) |
口기(基) 口경(坰) |
옥(鈺) 현(鉉) |
口홍(洪) 口수(洙) |
상(相) 동(東) |
口열(烈) 口환(煥) |
치(致) 재(載) |
口석(錫) 口호(鎬) |
연(演) 태(泰) |
口주(柱) 口근(根) |
병(炳) 홍(烘) |
口교(敎) 口평(坪) |
종(鍾) 동(銅) |
- 어사공파
20세 | 21세 | 22세 | 23세 | 24세 | 25세 | 26세 | 27세 | 28세 | 29세 | 30세 | 31세 | 32세 | 33세 |
---|---|---|---|---|---|---|---|---|---|---|---|---|---|
동(東) | 口묵(黙) | 재(在) | 口진(鎭) | 영(泳) 해(海) |
口식(植) 口화(禾) |
환(煥) 연(然) |
口기(基) | 현(鉉) | 口호(浩) | 수(樹) | 口섭(燮) | 주(周) | 口종(鍾) |
인구
[편집]- 2000년 74,777가구, 238,505명
- 2015년 진주 정씨 197,242명 + 진양 정씨 127,279명 = 324,521명